13 You, my brothers and sisters, were called to be free. But do not use your freedom to indulge the flesh[A] ; rather, serve one another humbly in love. 14 For the entire law is fulfilled in keeping this one comm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B] 15 If you bite and devour each other, watch out or you will be destroyed by each other.
16 So I say, walk by the Spirit, and you will not gratify the desires of the flesh. 17 For the flesh desires what is contrary to the Spirit, and the Spirit what is contrary to the flesh. They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so that you are not to do whatever[C] you want. 18 But if you are led by the Spirit, you are not under the law.
19 The acts of the flesh are obvious: sexual immorality, impurity and debauchery; 20 idolatry and witchcraft; hatred, discord, jealousy, fits of rage, selfish ambition, dissensions, factions 21 and envy; drunkenness, orgies, and the like. I warn you, as I did before, that those who live like this will not inherit the kingdom of God.
22 But the fruit of the Spirit is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23 gentleness and self-control. Against such things there is no law. 24 Those who belong to Christ Jesus have crucified the flesh with its passions and desires.
My Will, Thy Will
Galatians 5:13–24
By Rev. Yaqub Kashif
“Father, not My will, but Thine be done.” Luke 22:42
“아버지여, 내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누가복음 22:42)
The morning light began to stretch its fingers across the hills of Gethsemane, soft and gold, touching the leaves of the olive trees that had watched centuries pass in silence. Beneath their shadow, the earth still seemed to remember the weight of a prayer once whispered there: “Not My will, but Thine be done.”
새벽빛이 겟세마네 언덕을 따라 손가락처럼 뻗어나가기 시작했다. 부드럽고 황금빛으로, 수백 년의 세월을 침묵 속에 지켜본 올리브 나무 잎사귀들을 어루만지며. 그 나무 그늘 아래, 땅은 여전히 오래전 그곳에서 속삭여졌던 한 기도의 무게를 기억하는 듯했다. “내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In that single sentence, heaven and earth collided. It was not a cry of defeat but of victory, not surrender to pain but surrender through love. The Son of God, kneeling in the darkness, showed the world that true freedom is not doing as we wish it is yielding to the Father who knows what we cannot see.
그 한 문장 속에서 하늘과 땅이 부딪혔다. 그것은 패배의 외침이 아니라 승리의 선언이었고, 고통에 굴복한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순복한 것이었다. 어둠 속에서 무릎 꿇으신 하나님의 아들은 세상에 보여주셨다 — 참된 자유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아시는 아버지께 자신을 내어드리는 것임을.
Paul would later write to the Galatians, “You were called to freedom, brothers, only do not use your freedom as an opportunity for the flesh, but through love serve one another.” Freedom, how we love the sound of it and how quickly we distort it. The flesh hears freedom and imagines indulgence. The Spirit hears freedom and whispers surrender. One demands control; the other releases it. One says, “My will.” The other bows, “Thy will.” Between these two voices lies the tension of every human heart. Every believer must decide who will rule the inner throne.
바울은 훗날 갈라디아서에서 이렇게 썼다. “형제들아, 너희가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입었으나, 그 자유로 육체의 기회를 삼지 말고 오직 사랑으로 서로 종노릇 하라.”
자유 — 우리는 그 단어의 울림을 사랑하지만, 얼마나 빨리 그것을 왜곡하는가. 육체는 자유를 듣고 방종을 상상한다. 그러나 영은 자유를 듣고 ‘순복’을 속삭인다. 하나는 통제를 원하고, 다른 하나는 내려놓는다. 하나는 “내 뜻대로”라 말하고, 다른 하나는 “아버지의 뜻대로”라 고백한다. 이 두 목소리 사이에 모든 인간의 마음이 놓여 있다. 모든 신자는 그 내면의 왕좌에 누가 앉을지를 결정해야 한다.
There is a quiet war that rages in every soul. The flesh shouts for its way, promising pleasure, recognition, and control. The Spirit, gentle but unrelenting, calls us toward obedience, humility, and peace. The battle never truly ends. Freedom did not silence it; the cross simply gave us the power to win it.
모든 영혼 안에는 조용하지만 치열한 전쟁이 있다. 육체는 쾌락과 인정, 통제를 약속하며 자기 길을 고집한다. 그러나 성령은 온유하지만 끈질기게, 순종과 겸손, 평화를 향해 우리를 부르신다. 그 싸움은 결코 끝나지 않는다. 자유가 그 싸움을 멈춘 것이 아니다. 십자가가 우리에게 승리할 능력을 주신 것이다.
An old believer once said, “Inside me live two dogs one white, one black. They fight every day.” When asked which one wins, he replied softly, “The one I feed.” And so, it is with us. Every thought, every word, every hidden motive feeds either the Spirit or the flesh. We become what we nourish.
한 노신자가 이렇게 말했다. “내 안에는 두 마리의 개가 살고 있다. 하나는 흰 개, 하나는 검은 개다. 그들은 매일 싸운다.” 누군가 물었다. “그럼 어느 쪽이 이기나요?” 그는 조용히 대답했다. “내가 먹이는 쪽이 이긴다.”
우리도 그렇다. 모든 생각, 말, 숨은 동기는 영이나 육 중 하나를 먹인다. 우리는 결국 우리가 먹이는 존재가 된다.
When self-reigns, everything holy begins to decay. Pride grows quickly in the soil of self-will. Anger takes root where humility once lived. Division replaces unity. Jealousy strangles joy until the soul becomes dry, unable to hold the rain of grace. Paul called it “the works of the flesh,” but they are more than mere works they are the visible evidence of a heart that has refused to die. We tell ourselves we are free even as our peace withers and our love runs cold. We justify our ways and decorate our rebellion with religious words. Yet the Spirit still whispers: “Crucify the flesh.”
자아가 왕이 되면, 거룩한 모든 것이 서서히 썩기 시작한다. 교만은 자기 뜻의 흙에서 빠르게 자란다. 겸손이 있던 자리에 분노가 뿌리내린다. 연합은 분열로 바뀌고, 시기는 기쁨을 질식시킨다. 그러면 영혼은 메말라 은혜의 비를 담을 수 없게 된다. 바울은 이것을 “육체의 일들”이라 불렀지만, 그것은 단순한 행위 이상의 것이다. 그것은 죽기를 거부한 마음의 증거다. 우리는 평화가 시들고 사랑이 식어가도 여전히 “우린 자유롭다”고 말한다. 우리의 방종을 종교적인 말로 포장하며 스스로를 속인다. 그러나 성령은 여전히 속삭이신다. “육체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
Crucifixion sounds cruel to modern ears, but it is mercy in disguise. The flesh cannot be negotiated with; it must be nailed. It cannot be trained; it must be surrendered. There is no resurrection without death, no crown without a cross, no “Thy will” without the death of “my will.” The cross is not a symbol to wear; it is a sentence to bear. It is the place where pride bleeds and ego dies, where all the noise of the self finally grows silent under the weight of God’s will. Only there do we find true rest.
십자가에 못 박는다는 말은 현대의 귀에 잔혹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그것은 감춰진 자비다. 육체는 협상될 수 없다. 그것은 못 박혀야 한다. 훈련될 수 없다. 오직 항복되어야 한다. 죽음 없이는 부활이 없고, 십자가 없이는 면류관이 없으며, “아버지의 뜻대로”는 “내 뜻대로”의 죽음 없이는 불가능하다.
십자가는 단순히 목에 걸 장식이 아니라, 짊어져야 할 형벌이다. 그곳은 교만이 피 흘리고 자아가 죽는 자리다. 그곳에서 자기의 소리가 잠잠해지고, 하나님의 뜻의 무게 아래서 참된 안식이 시작된다.
But when the will of God begins to reign, the barren tree blooms again. Love, joy, peace, patie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these are not achievements to display but fruits that grow when the soil of the soul is surrendered. A farmer never shouts at his trees to bear fruit; he tends the roots. Likewise, the Spirit nourishes the roots of our hearts until Christ’s character blossoms from within. The fruit of the Spirit is not forced; it flows. It is the quiet testimony that something divine has taken residence within us.
그러나 하나님의 뜻이 다스리기 시작하면, 메마른 나무가 다시 꽃을 피운다. 사랑, 기쁨, 화평, 오래 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 — 이것들은 드러낼 업적이 아니라, 영혼의 밭이 항복될 때 자연스레 자라는 열매들이다. 농부는 나무에게 열매를 맺으라고 외치지 않는다. 그는 뿌리를 돌본다. 마찬가지로 성령은 우리의 마음의 뿌리를 가꾸시며, 그 안에서 그리스도의 성품이 피어나게 하신다. 성령의 열매는 억지로 맺히지 않는다. 흘러나오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 안에 어떤 신적 존재가 거하시기 시작했다는 조용한 증거다.
To live this way is to die daily. Every morning the Spirit extends His hand and says, “Take up your cross.” And every morning we must decide again will I cling to comfort or bow to calling? Will I protect my plans or yield to His purpose? This is not punishment; it is transformation. Every surrender carves more room for glory. Every “yes” to His will empties the soul of fear and fills it with peace. The flesh will always whisper that surrender is weakness, but those who have truly yielded know better. They have learned the paradox of heaven: when they fall, He stands; when they let go, He moves; when they die to self, life begins again.
이렇게 사는 것은 매일 죽는 것이다. 매일 아침 성령은 손을 내밀며 말씀하신다. “너의 십자가를 지라.” 그리고 우리는 매일 다시 결정해야 한다. 편안함을 붙들 것인가, 부르심에 무릎 꿇을 것인가. 내 계획을 지킬 것인가, 그분의 목적에 순복할 것인가. 이것은 벌이 아니라 변화다. 매번의 항복이 영광의 공간을 더 넓힌다. 매번의 “예”가 두려움을 비워내고 평안으로 채운다. 육체는 늘 속삭인다. “순복은 약함이다.” 그러나 진정으로 항복한 자들은 안다. 하늘의 역설을 — 우리가 쓰러질 때 그분이 일어서시며, 우리가 놓을 때 그분이 일하시고, 우리가 자아에 죽을 때 생명이 다시 시작된다는 것을.
Freedom is not found in doing what we want. It is discovered in wanting what He wants. Obedience is not heavy when love has made the heart soft. When love becomes the motive, obedience becomes the melody. And in that music, heaven finds harmony with earth.
자유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하는 데 있지 않다. 그분이 원하시는 것을 원하는 데 있다. 사랑이 마음을 부드럽게 할 때, 순종은 결코 무겁지 않다. 사랑이 동기가 될 때, 순종은 노래가 된다. 그리고 그 노래 속에서 하늘과 땅이 조화를 이룬다.
Once more, the garden waits. The wind still carries that same sacred echo the prayer that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Father, not My will, but Thine be done.” Those words are not relics of the past. They are alive, waiting to be spoken by every heart that longs for peace. Somewhere deep within each of us, that same Gethsemane still exists a hidden garden of surrender. There, beneath the bending branches of our own resistance, the Spirit calls us to kneel. And when we finally bow, trembling yet trusting, we discover what Christ knew all along: that the will of the Father is not a prison but a path to freedom.
다시, 그 동산이 기다린다. 바람은 여전히 그 거룩한 메아리를 싣고 흐른다 — 역사의 흐름을 바꾼 그 기도: “아버지여, 내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그 말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다. 지금도 살아 있다. 평화를 갈망하는 모든 마음 속에서 다시 울리기를 기다린다. 우리 각자 안에도 겟세마네가 있다. 항복의 비밀스런 동산, 우리 저항의 가지 아래에서 성령은 다시 우리를 부르신다. “무릎 꿇으라.”
그리고 우리가 마침내 떨리는 마음으로, 그러나 신뢰하며 무릎을 꿇을 때,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이미 아셨던 진리를 발견한다 — 아버지의 뜻은 감옥이 아니라 자유의 길이라는 것을.
Every believer must find their own Gethsemane, their own moment of surrender. The victory of the Spirit begins where the will of man ends. Surrender is not weakness; it is worship. It is not the loss of control but the gaining of peace. Each day the Spirit whispers,
모든 신자는 자기만의 겟세마네, 자기의 항복의 순간을 찾아야 한다. 성령의 승리는 인간의 뜻이 멈추는 그 자리에서 시작된다. 순복은 약함이 아니다. 그것은 예배다. 그것은 통제의 상실이 아니라 평안의 획득이다. 매일 성령은 속삭이신다.
“Whose will shall live today?” And each day, with trembling hearts, we must answer, “Not mine, Lord, but Thine.” In every choice, in every delay, in every unseen moment when we yield, He reigns; when we bow, He moves. This is the secret of a Spirit-filled life: dying to self until only Christ remains.
“오늘은 누구의 뜻이 살겠느냐?” 그리고 우리는 매일 떨리는 마음으로 대답해야 한다. “내 뜻이 아니라, 주의 뜻이 이루어지이다.”
모든 선택 속에서, 모든 기다림 속에서, 모든 보이지 않는 순간 속에서 — 우리가 순복할 때, 그분이 다스리신다. 우리가 무릎 꿇을 때, 그분이 움직이신다. 이것이 성령으로 충만한 삶의 비밀이다. 자아가 죽을 때까지, 오직 그리스도만 남을 때까지.
“Walk by the Spirit, and you will not gratify the desires of the flesh.” (Galatians 5:16)
“너희는 성령을 따라 행하라. 그리하면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아니하리라.” (갈라디아서 5:16)
2
우상과 거짓 신들로 가득한 땅에서, 이스라엘은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여호와는 한 분이시다. 다른
민족은 많은 신들에게 절했지만, 이스라엘은 오직 한 분께 매달렸습니다. 그들은 땅도, 지위도,
자유도 잃을 수 있었지만, 하나님을 기억하는 한 하나님의 백성이었습니다.
Chuseok reminds us of our ancestors, their names etched in stone, their stories retold at the table. Yet
Scripture whispers with a sharper urgency: Remember the Lord. As Psalm 127:1 warns, “Unless the
LORD builds the house, those who build it labor in vain.” Bloodline may falter, wealth may fade,
tradition may shift, but if the Lord is our foundation, our house will stand.
추석은 우리의 조상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들의 이름은 돌에 새겨지고, 그들의 이야기는 식탁에서
전해집니다. 그러나 성경은 더 절박하게 속삭입니다. 여호와를 기억하라. 시편 127 편 1 절은
경고합니다. “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세우는 자의 수고가 헛되며.” 혈통은 흔들릴 수
있고, 재산은 사라질 수 있고, 전통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이 우리의 기초라면 우리의
집은 견고히 설 것입니다.
And the Shema does not pause at remembrance. It rushes deeper: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ght.” This is not half-hearted love, not devotion by
convenience, not leftovers on the table of God. Korean families would never bring half-spoiled fruit or
broken offerings to a Chuseok table.
그리고 쉐마는 단순히 기억에서 멈추지 않습니다. 더 깊이 나아갑니다.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이것은 반쪽짜리 사랑이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드리는 헌신도 아니며, 하나님의 상에 남은 것을 내어놓는 것도 아닙니다. 한국의
가정은 추석 상에 썩은 과일이나 깨진 음식을 올리지 않습니다. 최고의 것으로 정성을 다해
드립니다.They prepare the finest to show honor. How much more does the living God deserve the very
best of us our thoughts, our breath, our strength, our wealth, our everything? Jesus Himself called this
the greatest commandment (Matt. 22:37). Paul pleaded with us to offer our very lives as living sacrifices
(Rom. 12:1).
살아계신 하나님께는 그보다 더한 최상의 것을 드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우리의 생각, 호흡, 힘,
재물, 모든 것 말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이것을 가장 큰 계명이라 말씀하셨습니다(마태복음 22:37).
바울은 우리의 삶 전체를 산 제사로 드리라고 간청했습니다(로마서 12:1).
But there is more. The Shema presses beyond memory and devotion into responsibility: “You shall teach
them diligently to your children… when you sit, when you walk, when you lie down, when you rise.” At
Chuseok, families pass down recipes, rituals, and surnames. Yet Scripture cries: the greatest inheritance is
not property, not education, not even tradition it is faith. “Train up a child in the way he should go,”
Proverbs says, “and when he is old, he will not depart from it.” (Prov. 22:6).
3
그러나 거기서 끝이 아닙니다. 쉐마는 기억과 헌신을 넘어 책임으로 나아갑니다.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라… 네가 앉아 있을 때에든, 길을 갈 때에든, 누워 있을 때에든, 일어날 때에든.”
추석에 가족은 요리법, 의식, 성씨를 전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외칩니다. 가장 위대한 유산은
재산도, 교육도, 전통도 아닌 바로 ‘믿음’입니다. 잠언은 말합니다.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잠언 22:6)
Parents, your living room is a sanctuary, your dining table an altar, your bedtime prayers the liturgy of the
next generation. Paul remembered Timothy’s faith, first seen in his grandmother Lois and mother Eunice
(2 Tim. 1:5). The world will give your children many stories, but only you can give them the story that
saves.
부모들이여, 여러분의 거실은 성소이고, 여러분의 식탁은 제단이며, 잠자리의 기도는 다음 세대를
위한 예배입니다. 바울은 디모데의 믿음을 기억했습니다. 그것은 그의 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에게서 먼저 보인 믿음이었습니다(디모데후서 1:5). 세상은 여러분의 자녀에게 많은
이야기를 주겠지만, 구원하는 이야기를 줄 수 있는 이는 여러분뿐입니다.
Finally, the Shema commanded Israel to mark their lives with God’s Word tied on their hands, bound
before their eyes, written on doorframes and gates. Faith was not a Sabbath ceremony but a rhythm for
sunrise and sunset, for marketplaces and fields, for homes and streets.
마지막으로, 쉐마는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말씀으로 삶을 새기라고 명령했습니다. 손목에 매고,
눈 앞에 두고, 문설주와 성문에 기록하라고 했습니다. 믿음은 안식일의 의식이 아니라, 해 뜨고
지는 리듬이었고, 시장과 밭에서, 가정과 길 위에서 살아내는 삶이었습니다.
In Korea, walls often bear calligraphy of wisdom and proverbs. But our walls, and even more our lives,
must bear the living Word of God. James warns us not to be hearers only, but doers of the Word (James
1:22). True faith bleeds into daily life how we speak, how we forgive, how we work, how we love.
한국의 벽에는 지혜와 속담이 서예로 새겨지곤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벽, 더 나아가 우리의 삶은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새겨야 합니다. 야고보는 우리가 듣기만 하는 자가 아니라 행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야고보서 1:22). 참된 믿음은 일상에 스며듭니다. 우리가 말하는 법,
용서하는 법, 일하는 법, 사랑하는 법 속에 녹아듭니다.Perhaps you are visiting church this Chuseok
or joining family for worship though faith is not yet your own. Hear this: God’s invitation is not limited to
one family line or one tradition. The inheritance of faith is a gift freely offered in Jesus Christ. Just as
Chuseok opens its table to every member of the family, so Christ opens His table to all who come to Him.
This inheritance can begin with you today.
4
혹시 여러분 중 추석이라 교회를 방문했거나 가족과 함께 예배에 참석했지만 아직 믿음이 내 것이
아닌 분이 계십니까? 들어 보십시오. 하나님의 초청은 특정 가문이나 전통에 제한되지 않습니다.
믿음의 유산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값없이 주어진 선물입니다. 추석의 식탁이 모든 가족에게
열려 있듯, 그리스도의 식탁도 그에게 나아오는 모든 이에게 열려 있습니다. 이 유산은 오늘
여러분에게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So, we stand here at Chuseok, surrounded by memories and tradition. We give thanks for ancestors, for
family, and for the harvest of the land. But the Shema pierces us with a greater call. Chuseok celebrates
memory the Shema calls us to remember the Lord. Chuseok celebrates inheritance the Scriptures call us
to pass on faith. Chuseok celebrates harvest God calls us to seek the harvest of souls and generations
changed by His Word.
그러므로 우리는 추석이라는 자리에서, 기억과 전통에 둘러싸여 서 있습니다. 조상에게, 가족에게,
땅의 수확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쉐마는 우리에게 더 큰 부름을 찌르듯 들려줍니다. 추석은
기억을 기념하지만, 쉐마는 주님을 기억하라 부릅니다. 추석은 유산을 전하지만, 성경은 믿음을
전하라 외칩니다. 추석은 수확을 기뻐하지만, 하나님은 영혼의 수확, 그분의 말씀으로 세대가
변화되는 추수를 구하십니다.And we cannot forget this: Jesus Christ fulfilled the Shema perfectly. He
loved the Father with all His heart, all His soul, and all His strength even to the cross. And by His
sacrifice, we are welcomed into God’s eternal family, grafted into a heritage that never fades, into a faith
that endures beyond death.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쉐마를 완벽히 성취하셨습니다. 그분은 마음과
영혼과 힘을 다하여 아버지를 사랑하셨습니다. 십자가에 이르기까지. 그분의 희생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영원한 가족 안으로 환영받고, 사라지지 않는 유산에 접붙임 받고, 죽음을 넘어서는 믿음
안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So this Chuseok, let us not stop at fruit on the table or stories at the
graveyard site. Let us set before our children and our children’s children the greatest treasure of all a
living, burning faith in God, carried forwar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그러므로 이번 추석, 단지 상 위의 과일이나 묘소에서의 이야기에 멈추지 맙시다. 우리 자녀와
자녀의 자녀에게 가장 큰 보물을 물려줍시다. 살아 있고 타오르는 믿음, 세대를 넘어 전해지는
하나님 신앙을.
“Hear, O Israel: The LORD our God, the LORD is one. You shall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ght.” (Deut. 6:4–5)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신명기 6: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