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ilsanenglishworship

  • Ezekiel 43: 1-7  This Is My Throne

    Ezekiel 43: 1-7 This Is My Throne

    Then the man brought me to the gate facing east, and I saw the glory of the God of Israel coming from the east. His voice was like the roar of rushing waters, and the land was radiant with his glory. The vision I saw was like the vision I had seen when he[A] came to destroy the city and like the visions I had seen by the Kebar River, and I fell facedown. The glory of the Lord entered the temple through the gate facing east. Then the Spirit lifted me up and brought me into the inner court, and the glory of the Lord filled the temple.

    While the man was standing beside me, I heard someone speaking to me from inside the temple. He said: “Son of man, this is the place of my throne and the place for the soles of my feet. This is where I will live among the Israelites forever. The people of Israel will never again defile my holy name—neither they nor their kings—by their prostitution and the funeral offerings[B] for their kings at their death.[

    This Is My Throne (Ezekiel 43:1–7)
    이것은 내 보좌라 (에스겔 43:1–7)
    Rev. Yaqub Kashif
    야쿱 카쉬프 목사

    Good morning, beloved in Christ. Today we gather with open hearts to hear the Word of the Lord, a Word that is not only about fire on the altar, but about the King taking His throne. Ezekiel saw the glory of the Lord return from the east, just as the first light of Eden once shone from the east. The east is never accidental. It is the direction of restoration, reminding us of the Garden we lost and the glory that God promises to restore.

    그리스도 안에서 사랑하는 여러분, 주님의 평안으로 인사드립니다. 오늘 우리는 열린 마음으로 하나님의 말씀 앞에 섰습니다. 오늘 말씀은 단순히 제단 위의 불에 관한 것이 아니라, 왕께서 보좌에 앉으시는 것에 관한 말씀입니다. 에스겔은 하나님의 영광이 동쪽에서 돌아오심을 보았습니다. 에덴의 첫 빛 또한 동쪽에서 비추었듯, 동쪽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동쪽은 회복의 방향이며, 우리가 잃어버렸던 동산과 하나님께서 다시 주시겠다고 약속하신 영광을 상기시킵니다.

    The prophet describes that when the glory came, the earth shone with His radiance. The word he uses is כָּבוֹד (kabôd), meaning weight, heaviness, splendor. In Greek, the word is δόξα (dóxa), meaning glory, honor, divine brightness. Glory is not a feeling or an emotion; it is the very weight of God’s being pressing upon creation until everything bows. When the kabôd comes, there is no room for idols, no space for pride, no throne for anyone else.

    선지자는 영광이 임할 때 온 땅이 그 광채로 빛났다고 기록합니다. 그가 사용한 단어는 히브리어 “카보드(כָּבוֹד, kabôd)”로, 무게, 중후함, 광휘를 뜻합니다. 헬라어로는 “독사(δόξα, dóxa)”라 하여, 영광, 존귀, 신적 광채를 의미합니다. 영광은 단순한 느낌이나 감정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존재감이 피조세계 위에서 누르시는 것이며, 모든 것이 무릎 꿇게 되는 실재입니다. 카보드가 임하면 우상은 설 자리가 없고, 교만은 사라지며, 다른 어떤 보좌도 남을 수 없습니다.

    Ezekiel hears the voice of God saying, “This is the place of My throne.” The altar once burned with fire, but fire was only a beginning. Fire excites, but glory transforms. The altar is for sacrifice, but the throne is for rule. God is not content with occasional visitation; He desires habitation. Jesus confirmed this when He said, “If anyone loves Me… My Father and I will come to them and make Our home with them” (John 14:23). Paul reminds us, “Do you not know that you are God’s temple (ναός, naos) and that God’s Spirit dwells in you?” (1 Corinthians 3:16). Christianity is not visiting God    it is God enthroning Himself in us.

    에스겔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습니다. “이것이 내 보좌의 자리다.” 제단은 불로 타올랐지만 불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불은 흥분을 일으키지만, 영광은 변화를 일으킵니다. 제단은 제사를 위한 것이지만, 보좌는 다스리심을 위한 자리입니다. 하나님은 가끔 방문하시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은 거하시기를 원하십니다. 예수님도 말씀하셨습니다. “사람이 나를 사랑하면… 내 아버지와 내가 그에게 가서 거처를 그와 함께하리라”(요한복음 14:23). 바울도 선포합니다.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ναός, naos)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거하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고린도전서 3:16).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을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 보좌를 세우시는 것입니다.

    But when the throne is lost, the glory departs. Israel once cried out the name אִי־כָבוֹד (Ichabod), meaning “the glory has departed” (1 Samuel 4:21). Where there is Ichabod, there is emptiness, corruption, and despair. Yet when the King returns, He does not leave things as they are. We see this in Jesus. Entering the temple, He made a whip of cords and drove out the merchants, saying, “My house shall be a house of prayer, but you have made it a den of robbers” (John 2:16; cf. Jeremiah 7:11). When glory comes back, idols must fall. False thrones are overturned. What is unholy cannot remain where the King sits.

    그러나 보좌를 잃으면 영광이 떠납니다. 이스라엘은 한때 “이가봇(אִי־כָבוֹד, Ichabod)”이라 외쳤습니다. “영광이 떠났다”(사무엘상 4:21)는 뜻입니다. 이가봇이 임한 곳에는 공허와 부패와 절망이 가득합니다. 그러나 왕께서 다시 오시면, 그분은 현상을 그대로 두지 않으십니다. 예수님이 성전에 들어가셨을 때, 줄로 채찍을 만드사 상인들을 내쫓으셨습니다. “내 집은 기도하는 집이라 일컬음을 받아야 할 터인데 너희는 강도의 소굴로 만들었다”(요한복음 2:16; cf. 예레미야 7:11). 영광이 돌아오면, 우상은 무너집니다. 거짓 보좌는 전복됩니다. 왕께서 앉으시는 자리에는 거룩하지 않은 것이 남아 있을 수 없습니다.

    This vision is not just about a building in Jerusalem. It is about us. My life, your life, our church    we are meant to be the throne of God. Paul declares,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 It is no longer I who live, but Christ lives in me” (Galatians 2:20). To the church in Laodicea, Jesus says, “The one who overcomes, I will grant to sit with Me on My throne” (Revelation 3:21). When He takes His throne in us, His reign flows through our families, our ministries, and our nations.

    이 환상은 예루살렘 성전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 자신에 관한 것입니다. 나의 삶, 당신의 삶, 우리의 교회가 하나님의 보좌가 되어야 합니다. 바울은 고백합니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갈라디아서 2:20). 라오디게아 교회에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이기는 그에게는 내가 내 보좌에 함께 앉게 하리라”(요한계시록 3:21). 주님이 우리 안에 보좌를 세우실 때, 그분의 통치가 우리의 가정과 사역과 민족을 통해 흘러갑니다.

    History shows us what happens when glory fills the temple. In the great Pyongyang Revival of 1907, the Spirit of God fell with such weight that people wept aloud in repentance, confessing sins publicly, returning stolen goods, reconciling broken relationships. The kabôd pressed on Korea until hearts bowed, and out of that revival the Korean church was birthed in power. That is what happens when God’s throne is set among His people.

    역사는 성전이 영광으로 충만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줍니다. 1907년 평양 대부흥 때, 하나님의 영이 큰 무게로 임하시자 사람들이 통회하며 울며 회개하고, 죄를 공개적으로 고백하며, 훔친 것을 돌려주고, 깨어진 관계를 회복했습니다. 카보드가 한국 위에 임하시자 마음들이 무릎 꿇었고, 그 부흥 속에서 한국교회가 능력 가운데 태어났습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보좌가 그분의 백성 가운데 세워질 때 일어나는 일입니다.

    Beloved, this is not about a moment of fire, but a lifetime of glory. Paul writes that “we are being transformed into His image from glory to glory” (2 Corinthians 3:18). Habakkuk declares, “The earth will be filled with the knowledge of the glory of the Lord as the waters cover the sea” (Habakkuk 2:14). From Eden lost to Eden restored, from Ichabod to enthronement, from altar to throne God is shaping us to carry His glory into the nations.

    사랑하는 여러분, 이것은 한순간의 불꽃이 아니라 평생의 영광에 관한 것입니다. 바울은 기록합니다. “우리가 다 주의 영광을 보며 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하여 영광에서 영광에 이르니”(고린도후서 3:18). 하박국은 선언합니다. “여호와의 영광을 인정하는 것이 세상에 가득하리니 물이 바다를 덮음 같이 하리라”(하박국 2:14). 잃어버린 에덴에서 회복된 에덴으로, 이가봇에서 보좌로, 제단에서 보좌로 하나님은 우리를 빚으셔서 그분의 영광을 열방에 전하게 하십니다.

    So today, let us not only seek a visitation. Let us yield ourselves for His habitation. Let us become His throne, His temple, His dwelling place. And as a congregation, let us declare together:

    그러므로 오늘 우리는 단순히 방문을 구하지 맙시다. 그분이 거하시도록 우리 자신을 내어드립시다. 하나님의 보좌, 하나님의 성전, 하나님의 처소가 됩시다. 그리고 온 교회가 함께 이렇게 고백합시다:

    “Lord, make my life Your throne. Let Your glory remain, and let nothing else sit where You alone belong.”

  • 1 Kings 18:30–39  Altars Without Fire

    1 Kings 18:30–39 Altars Without Fire

    30 Then Elijah said to all the people, “Come here to me.” They came to him, and he repaired the altar of the Lord, which had been torn down. 31 Elijah took twelve stones, one for each of the tribes descended from Jacob, to whom the word of the Lord had come, saying, “Your name shall be Israel.” 32 With the stones he built an altar in the name of the Lord, and he dug a trench around it large enough to hold two seahs[A] of seed. 33 He arranged the wood, cut the bull into pieces and laid it on the wood. Then he said to them, “Fill four large jars with water and pour it on the offering and on the wood.”

    34 “Do it again,” he said, and they did it again.

    “Do it a third time,” he ordered, and they did it the third time. 35 The water ran down around the altar and even filled the trench.

    36 At the time of sacrifice, the prophet Elijah stepped forward and prayed: “Lord, the God of Abraham, Isaac and Israel, let it be known today that you are God in Israel and that I am your servant and have done all these things at your command. 37 Answer me, Lord, answer me, so these people will know that you, Lord, are God, and that you are turning their hearts back again.”

    38 Then the fire of the Lord fell and burned up the sacrifice, the wood, the stones and the soil, and also licked up the water in the trench.

    39 When all the people saw this, they fell prostrate and cried, “The Lord—he is God! The Lord—he is God!”

    “Altars Without Fire”
    Text: 1 Kings 18:30–39
    Preacher: Rev. Yaqub Kashif

    Last Sunday, we were reminded that Acts 29 is still being written not with ink, but
    through the lives of believers who surrender daily to Jesus Christ. Every prayer we
    pray, every act of obedience we offer, and every word of witness we speak
    becomes a line in God’s ongoing story. But this week, we were confronted with an
    important question: if our life is to be part of that next chapter, does the altar of our
    heart still have fire?
    지난주 우리는 사도행전 29 장은 여전히 기록되고 있다는 것을
    상기했습니다. 잉크로 쓰여지는 것이 아니라, 날마다 예수 그리스도께
    자신을 온전히 내어드리는 믿는 자들의 삶을 통해 쓰여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드리는 모든 기도, 순종의 모든 행위, 증인의 모든 말이 하나님의
    계속되는 이야기 속 한 줄이 됩니다. 그러나 이번 주 우리는 중요한 질문과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삶이 그 다음 장의 일부가 되기 위해, 우리
    마음의 제단에는 아직 불이 타고 있습니까?
    The early Church in Acts had no grand buildings, social media platforms, or
    sophisticated programs, yet they turned the world upside down because they were
    filled with the flame of God’s presence. Without that flame, the story slows down.
    Without it, Acts Chapter 29 becomes nothing more than words on a page, lacking
    the power that changes lives.
    사도행전 속 초대교회는 웅장한 건물도, 소셜미디어 플랫폼도, 세련된
    프로그램도 없었지만, 하나님의 임재의 불로 충만했기에 세상을 뒤집어
    놓았습니다. 그 불이 없으 이야기는 느려집니다. 그 불이 없으면, 사도행전
    29 장은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 없는 단지 글자에 불과해집니다.
    In the days of Elijah, the nation of Israel had turned away from God and embraced
    idols. The altar of the Lord lay in ruins, stones scattered, sacrifices stopped, hearts

    2

    turned away. On Mount Carmel, before Elijah ever prayed for fire, he repaired the
    altar stone by stone.
    엘리야 시대에,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을 떠나 우상을 섬겼습니다.
    여호와의 제단은 무너져 있었고, 돌은 흩어져 있었으며, 제사는 멈췄고,
    마음은 하나님에게서 멀어졌습니다. 갈멜산에서, 엘리야가 불을 위해
    기도하기 전에, 그는 제단을 돌 하나하나 다시 쌓았습니다.
    This is a picture of what God desires in us: the altar must be restored before the fire
    will fall. In the Bible, the altar was the place where heaven met earth, where people
    brought their sacrifice, sought God’s mercy, and experienced His presence. In our
    day, that altar is not made of stone or gold, it is found in the heart of every
    believer.
    이것은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서 원하시는 모습입니다. 불이 임하기 전에
    제단이 먼저 회복되어야 합니다. 성경에서 제단은 하늘과 땅이 만나는
    곳이었으며, 사람들이 제물을 드리고,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며, 그분의
    임재를 경험하는 자리였습니다. 오늘날 그 제단은 돌이나 금으로 된 것이
    아니라, 믿는 자의 마음 속에 있습니다.
    God’s fire represents His manifest presence and power. It is not human excitement
    or emotional hype. It is the holy flame that purifies sin, burns away pride, fills us
    with boldness, and makes our faith alive. Throughout Scripture, fire is the sign of
    God showing up: the burning bush where Moses was called, Mount Sinai where
    His holiness was revealed, the Temple where His acceptance of sacrifice was
    confirmed, and the Day of Pentecost when the Holy Spirit came with tongues of
    fire.
    하나님의 불은 그분의 나타나신 임재와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사람의
    흥분이나 감정적인 고조가 아닙니다. 그것은 죄를 정결케 하고, 교만을 태워
    없애며, 우리를 담대하게 하고, 믿음을 살아 있게 만드는 거룩한 불입니다.
    성경 전반에서 불은 하나님이 나타나시는 표징입니다. 모세가 부르심을 받은

    3

    떨기나무, 그분의 거룩함이 나타난 시내산, 제사를 받으신 것을 확증하신
    성전, 그리고 성령께서 불의 혀로 임하신 오순절이 그 예입니다.
    Without God’s flame, church becomes routine, worship becomes empty ritual, and
    service becomes a performance aimed at impressing people instead of pleasing
    God. With His flame, even the simplest act of obedience can carry eternal impact.
    하나님의 불이 없으면, 교회는 형식이 되고, 예배는 공허한 의식이 되며,
    섬김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보다 사람을 감동시키려는 공연이 됩니다.
    그러나 그분의 불이 있으면, 가장 단순한 순종의 행위조차도 영원한 영향을
    가질 수 있습니다.

    The danger of a fireless altar is real. Israel still had priests, sacrifices, and religious
    rituals, but without the fire, all of it was hollow. In the same way, we can maintain
    church activities and traditions while our hearts grow cold.
    불 없는 제단의 위험은 현실입니다. 이스라엘에는 여전히 제사장과 제사,
    종교적인 의식이 있었지만, 불이 없으니 모든 것이 공허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도 교회의 활동과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마음은 차갑게 식을
    수 있습니다.
    We can create an atmosphere that looks like fire, but God kn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ame He sends and the one we manufacture. Nadab and Abihu
    learned this painfully when they offered “unauthorized fire” in Leviticus 10 and
    they were struck down. God is not looking for imitation fire; He is looking for
    hearts that are consecrated so that His real flame can fall.
    우리는 불처럼 보이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지만, 하나님은 그분이 보내신
    불과 우리가 만들어낸 불의 차이를 아십니다. 나답과 아비후는 레위기
    10 장에서 “허락되지 않은 불”을 드렸다가 죽임을 당하며 이를 뼈저리게

    4

    배웠습니다. 하나님은 모조 불을 찾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진정으로 구별된
    마음을 찾으시며, 거기에 그분의 진짜 불을 주십니다.
    Under the New Covenant, we are now the altar. Romans 12:1 tells us to “offer
    your bodies as a living sacrifice, holy and pleasing to God this is your true and
    proper worship.” Your heart is the meeting place with God. Your obedience is the
    flame. Your life is the offering.
    새 언약 아래에서 우리는 이제 제단입니다. 로마서 12 장 1 절은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라고 말합니다. 여러분의 마음이 하나님과 만나는 자리입니다.
    여러분의 순종이 불입니다. 여러분의 삶이 제물입니다.
    When our altar is cold, we cannot expect the presence of God to burn brightly
    through us. I shared the story of a man whose faith had grown cold. Outwardly, he
    was still present in church and involved in service, but inwardly, the fire had gone
    out. One night, in prayer, he told God, “I’m tired of pretending light my heart
    again.” From that moment, he began waking early to pray, speaking about Jesus
    openly at work, and worshipping with joy. His life became a burning altar once
    more, and others could see the difference.
    우리 제단이 차갑다면, 하나님의 임재가 우리를 통해 강하게 타오르기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저는 믿음이 식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겉으로는 여전히 교회에 나오고 봉사에 참여했지만, 속으로는 불이 꺼져
    있었습니다. 어느 날 밤 그는 기도하며 하나님께 이렇게 말했습니다. “더는
    가장하고 싶지 않습니다. 제 마음에 다시 불을 붙여 주십시오.” 그 순간부터
    그는 새벽에 일어나 기도하기 시작했고, 직장에서 예수님을 담대히
    전했으며, 기쁨으로 예배드렸습니다. 그의 삶은 다시 타오르는 제단이
    되었고, 다른 사람들도 그 변화를 보았습니다.

    5

    So how do we restore the fire? Scripture gives us a pattern.
    First, we must repair the altar return to prayer, God’s Word, and intimate
    fellowship with Him.
    그렇다면 어떻게 불을 회복할 수 있을까요? 성경은 그 패턴을 보여줍니다.
    첫째, 제단을 수리해야 합니다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 그분과의 친밀한
    교제로 돌아가야 합니다
    Second, we must lay down true sacrifice surrender what costs us something,
    whether pride, plans, or personal comfort.
    둘째, 진정한 제물을 올려야 합니다 교만, 계획, 개인적 편안함 등 우리에게
    대가가 따르는 것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Third, we must pray and wait trusting God to send the flame in His timing, rather
    than trying to manufacture it ourselves.
    셋째, 기도하고 기다려야 합니다 불을 억지로 만들지 말고 하나님의 때를
    신뢰해야 합니다.
    Fourth, we must guard the flame Leviticus 6:13 commands, “The fire must be kept
    burning on the altar continuously; it must not go out.” That means feeding our
    spiritual life daily with worship, Scripture, and obedience, while guarding against
    distractions and compromise.
    넷째, 불을 지켜야 합니다 레위기 6 장 13 절은 “제단 위의 불은 꺼지지 않게
    하라”고 명령합니다. 이는 예배, 말씀, 순종으로 매일 우리의 영적 삶에
    연료를 공급하고, 방해와 타협을 경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t the heart of all this is the gospel. There is no fire without Jesus. He is the Lamb
    who went to the altar of the Cross for us, and He alone baptizes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 The fire we long for is not found in trying harder, but in drawing
    nearer to Him.

    6

    이 모든 것의 중심에는 복음이 있습니다. 예수님 없이는 불이 없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위해 십자가라는 제단에 올라가신 어린양이시며, 그분만이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시는 분입니다. 우리가 갈망하는 불은 더 열심히
    하려는 노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분께 더 가까이 나아감에서
    나옵니다.
    This week’s challenge is practical: set aside daily time with God without
    distraction, fast from one thing that steals your focus, and share your testimony
    with someone who needs encouragement. Do not settle for a cold altar. Let God
    rebuild and relight your heart until His flame burns so brightly that the world
    cannot ignore it.
    이번 주의 도전은 실천적입니다. 매일 방해 없이 하나님과 시간을 보내고,
    집중을 빼앗는 한 가지를 금기하며, 격려가 필요한 누군가에게 여러분의
    간증을 나누십시오. 차가운 제단에 만족하지 마십시오. 하나님께서 여러분의
    마음을 다시 세우고 불을 붙이셔서, 그분의 불이 세상이 외면할 수 없을 만큼
    밝게 타오르게 하십시오.

  • ACTS 28: 23-31  I Am the Next Chapter

    ACTS 28: 23-31 I Am the Next Chapter

    23 They arranged to meet Paul on a certain day, and came in even larger numbers to the place where he was staying. He witnessed to them from morning till evening, explaining about the kingdom of God, and from the Law of Moses and from the Prophets he tried to persuade them about Jesus. 24 Some were convinced by what he said, but others would not believe. 25 They disagreed among themselves and began to leave after Paul had made this final statement: “The Holy Spirit spoke the truth to your ancestors when he said through Isaiah the prophet:

    26 “‘Go to this people and say,
    “You will be ever hearing but never understanding;
        you will be ever seeing but never perceiving.”
    27 For this people’s heart has become calloused;
        they hardly hear with their ears,
        and they have closed their eyes.
    Otherwise they might see with their eyes,
        hear with their ears,
        understand with their hearts
    and turn, and I would heal them.’[A]

    28 “Therefore I want you to know that God’s salvation has been sent to the Gentiles, and they will listen!” 29 [B]

    30 For two whole years Paul stayed there in his own rented house and welcomed all who came to see him. 31 He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and taught about the Lord Jesus Christ—with all boldness and without hindrance!

    ACTS 29: I Am the Next Chapter
    Text: Acts 28:23–31, Preacher: Rev. Yaqub Kashif
    The Book of Acts ends without an ending. No grand finale. No tidy conclusion. The
    curtain doesn’t close it stays open. Why? Because the story wasn’t just about Paul. It was
    about the Gospel going forth through Spirit-filled people. And it still is.
    사도행전은 결말 없이 끝난다. 화려한 피날레도, 깔끔한 결론도 없다. 막이 닫히지
    않고 열린 채로 남는다. 왜일까? 이야기가 바울만에 관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성령으로 충만한 사람들을 통해 나아가는 복음에 관한 것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Acts 28 leaves us standing at the edge of a page that begs to be continued not by another
    apostle, but by you. That’s why this message is titled “Acts 29: I Am the Next Chapter.”
    It’s not a fictional chapter, it’s a living one, unfolding in your life, your calling, your
    obedience.
    사도행전 28장은 사도들 중에 또 다른 사람이 아니라 바로 당신이 이어가야 할
    페이지 끝자락에 우리를 세워둔다. 그래서 이 설교의 제목은 “사도행전 29: 나는
    다음 장이다”이다. 그것은 허구의 장이 아니라, 당신의 삶과 부르심, 순종 속에서
    펼쳐지고 있는 살아있는 장이다.
    I. The Gospel Is Still Being Preached (v. 23)
    I. 복음은 여전히 전파되고 있다 (23절)
    Paul was bound by chains, confined to a house arrest in Rome. He can’t travel. He can’t
    escape. But the Gospel isn’t chained. It flows from him like fire. People come from all
    over to hear him Jews, seekers, skeptics. From morning until evening, he opens the
    Scriptures, connecting the Law of Moses to Jesus Christ. The setting may be limited, but
    the Word is limitless.
    바울은 쇠사슬에 묶여 로마에서 가택연금 상태에 있었다. 그는 여행할 수 없었고,
    탈출할 수도 없었다. 그러나 복음은 묶이지 않았다. 불길처럼 그에게서 흘러나왔다.
    사람들은 그의 말을 듣기 위해 사방에서 찾아왔다. 유대인도, 구도자도, 회의적인
    1
    자도 있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그는 성경을 열어 모세의 율법을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시켰다. 환경은 제한되었지만, 말씀은 무한했다.
    Here’s the question: What have you done with the Gospel in your confinement? When
    life boxed you in emotionally, financially, physically did the Gospel still burn through
    you? Paul turned prison into a pulpit. Will you do the same?
    여러분께 물어보겠다 : 당신의 ‘갇힘’ 속에서 복음으로 무엇을 했는가? 인생이
    당신을 감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육체적으로 가두었을 때, 복음은 여전히 당신을
    통해 타올랐는가? 바울은 감옥을 강단으로 바꾸었다. 당신도 그렇게 할 것인가?
    Your kitchen table can be a mission field. Your suffering can become someone’s
    salvation story. The Gospel doesn’t need stages; it needs surrendered lives.
    당신의 식탁이 선교지가 될 수 있다. 당신의 고난이 누군가의 구원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 복음은 무대가 아니라, 온전히 드려진 삶을 필요로 한다.
    II. Some Will Believe, Some Will Reject (vv. 24–25)
    II. 어떤 이는 믿고, 어떤 이는 거부한다 (24–25절)
    After all Paul’s effort, Luke records a simple outcome: some believed, others didn’t. This
    reminds us: success in ministry is not measured by response, but by obedience. You will
    preach, post, serve, love and some will listen. Others won’t. That’s not failure. That’s
    faithfulness.
    바울이 모든 노력을 다한 뒤, 누가는 단순한 결론을 기록한다: 믿는 이도 있고, 믿지
    않는 이도 있었다. 이것은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사역의 성공은 반응으로 측정되지
    않고, 순종으로 측정된다는 것을. 당신이 전하고, 올리고, 섬기고, 사랑해도, 듣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실패가 아니라, 신실함이다.
    Paul didn’t stop because some rejected him. He kept preaching. Why? Because he knew
    the Gospel’s power wasn’t tied to human applause it was tied to divine appointment.
    바울은 거부당했다고 멈추지 않았다. 그는 계속 설교했다. 왜냐하면 그는 복음의
    능력이 사람들의 박수에 달린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예정에 달려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2
    Let this be your conviction: “Even if one believes, I will speak. Even if none applaud, I
    will obey.”
    이것이 당신의 확신이 되라: “한 사람이라도 믿는다면 나는 말하겠다. 아무도
    박수치지 않아도 나는 순종하겠다.”
    III. The Holy Spirit Still Speaks (vv. 25–27)
    III. 성령은 여전히 말씀하신다 (25–27절)
    In response to rejection, Paul quotes Isaiah 6:10 a passage about people who see but don’t
    perceive, hear but don’t understand. But notice what Paul says next: “The Holy Spirit
    spoke the truth.” Not spoke in the past tense but still speaks.
    거부에 대한 반응으로, 바울은 이사야 6:10을 인용한다. 보아도 깨닫지 못하고,
    들어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말씀이다. 그러나 주목하라. 바울은 이렇게
    말한다: “성령이 진리로 말씀하셨다.”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형이다.
    The Spirit hasn’t gone quiet since Pentecost. He’s still whispering in hearts, still calling
    prodigals home, still convicting sinners and commissioning saints. And He’s speaking to
    you right now.
    성령은 오순절 이후 침묵하지 않으셨다. 지금도 마음에 속삭이시고, 돌아온 탕자를
    부르시며, 죄인을 책망하고 성도를 파송하신다. 그리고 지금 당신에게 말씀하신다.
    Are you listening?
    The Holy Spirit is not an idea or a goosebump. He is the active voice of God who turns
    ordinary people into history-makers. If you want to be Acts 29, you must tune your life to
    the frequency of His voice.
    당신은 듣고 있는가?
    성령은 개념이나 전율이 아니다. 그는 평범한 사람들을 역사 속의 인물로 바꾸시는
    하나님의 살아있는 음성이다. 사도행전 29가 되고 싶다면, 당신의 삶을 그분의
    음성 주파수에 맞추어야 한다.
    IV. The Gospel Must Go Beyond Our Circles (v. 28)
    IV. 복음은 우리의 울타리를 넘어가야 한다 (28절)
    3
    When Paul says, “This salvation has been sent to the Gentiles and they will listen,” he’s
    drawing a bold line in the sand. The Gospel was never meant to stay in Jerusalem. It was
    never meant to stay in comfort zones, cultural bubbles, or safe spaces. It was always
    meant to go.
    바울이 “이 구원이 이방인에게로 보내졌으니 그들은 들을 것이다”라고 말할 때,
    그는 모래에 굵은 선을 긋는다. 복음은 예루살렘에만 머물도록 의도되지 않았다.
    그것은 안락한 구역, 문화적 울타리, 안전지대에만 머물도록 계획되지 않았다.
    복음은 언제나 나아가도록 계획되었다.
    This verse is your permission slip to break boundaries. Take the Gospel outside your
    church, your culture, your assumptions. Go to those who feel unreachable, unworthy,
    unloved and proclaim: “Jesus sees you. Jesus calls you. Jesus saves.”
    이 구절은 당신에게 경계선을 넘어가라는 허가증이다. 복음을 교회 밖으로, 문화
    밖으로, 당신의 가정된 생각 밖으로 가져가라. 닿을 수 없다고 느끼는 자, 가치
    없다고 여기는 자,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자에게 이렇게 선포하라: “예수님이
    당신을 보신다. 예수님이 당신을 부르신다. 예수님이 당신을 구원하신다.”
    Acts 29 is not a safe chapter. It’s a risky one. A radical one. It’s about crossing lines for
    the sake of the cross.
    사도행전 29는 안전한 장이 아니다. 위험한 장이다. 급진적인 장이다. 그것은
    십자가를 위해 경계를 넘는 것이다.
    V. The Mission Continues Unhindered (v. 31)
    V. 사명은 막힘 없이 계속된다 (31절)
    The final words of Acts are loaded: “He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and taught
    about the Lord Jesus Christ with all boldness and without hindrance.” Rome couldn’t
    silence him. Chains couldn’t confine him. The mission continued boldly, freely,
    supernaturally.
    사도행전의 마지막 구절은 강력하다: “그는 담대히 조금도 금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것을 가르치더라.” 로마도,
    4
    쇠사슬도 그를 침묵시키지 못했다. 사명은 담대하게, 자유롭게, 초자연적으로
    계속되었다.
    This is a divine declaration: nothing can stop the Gospel not prisons, not pandemics, not
    persecution, not politics. And if God’s Word is unstoppable, then you are part of
    something eternal.
    이것은 신적 선언이다: 어떤 것도 복음을 멈출 수 없다. 감옥도, 팬데믹도, 박해도,
    정치도.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이 멈출 수 없다면, 당신은 영원한 것의 일부다.
    Say it aloud: “I am part of a mission that cannot be stopped. I will live, preach, and love
    without hindrance.”
    크게 선포하라: “나는 멈출 수 없는 사명의 일부다. 나는 막힘 없이 살고, 전하고,
    사랑하겠다.”
    VI. Your Life Is the Next Chapter
    VI. 당신의 삶이 다음 장이다
    The Book of Acts was written with ink but Acts 29 is written with lives. You are not just
    reading Scripture you are becoming it. The same Spirit that filled Peter at Pentecost and
    Paul in prison now fills you. The same commission to go, heal, baptize, and preach now
    belongs to you.
    사도행전은 잉크로 기록되었지만, 사도행전 29는 삶으로 기록된다. 당신은 단순히
    성경을 읽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되어가고 있다. 오순절에 베드로를, 감옥에서
    바울을 채우신 그 성령이 지금 당신 안에 거하신다. 가서, 치유하고, 세례 주고,
    전파하라는 동일한 명령이 이제 당신에게 주어졌다.
    You are not an afterthought in God’s story. You are a chapter in it. The question is: What
    will be written through you? Will your life echo the same power, surrender, and fire that
    marked the early Church?
    당신은 하나님의 이야기 속에서 후순위가 아니다. 당신은 그 이야기 속 한 장이다.
    여기서 당신에게 묻겠다 : 당신을 통해 무엇이 기록될 것인가? 당신의 삶이 초대
    교회를 특징지었던 동일한 능력과 헌신, 불을 울려 퍼뜨릴 것인가?
    5
    Don’t just admire the Book of Acts continue it.
    사도행전을 감탄만 하지 말고, 계속 써 내려가라.
    VII. Speak, Write, Live Like You’re the Next Page
    VII. 다음 페이지처럼 말하고, 쓰고, 살아라
    Let this settle deep: you don’t need to be perfect to be part of Acts 29. You just need to
    say “yes.” Your obedience writes revival. Your testimony breaks chains. Your daily
    surrender becomes a holy manuscript.
    마음을 깊이 새겨라: 사도행전 29의 일부가 되기 위해 완벽할 필요는 없다. 단지
    “예”라고 말하면 된다. 당신의 순종이 부흥을 기록한다. 당신의 간증이 쇠사슬을
    끊는다. 당신의 매일의 헌신이 거룩한 원고가 된다.
    So, speak boldly. Love recklessly. Forgive radically. Preach powerfully. Pray fervently.
    Serve faithfully.
    그러므로 담대히 말하라. 거침없이 사랑하라. 과감하게 용서하라. 능력 있게
    전하라. 열정적으로 기도하라. 신실하게 섬기라.
    Because the world is reading. And heaven is watching.
    세상이 읽고 있고, 하늘이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
    My personal Confession:
    Say it with fire and faith:
    “I am Acts 29. I am the next chapter. I will not let the story end with me.”
    나의 개인적인 고백
    불과 믿음으로 선포하라:
    “나는 사도행전 29다. 나는 다음 장이다. 나는 이 이야기가 나로 끝나게 하지
    않겠다.”
    6

  • ACTS 27: 21-32  But He Spoke

    ACTS 27: 21-32 But He Spoke

    21 After they had gone a long time without food, Paul stood up before them and said: “Men, you should have taken my advice not to sail from Crete; then you would have spared yourselves this damage and loss. 22 But now I urge you to keep up your courage, because not one of you will be lost; only the ship will be destroyed. 23 Last night an angel of the God to whom I belong and whom I serve stood beside me 24 and said, ‘Do not be afraid, Paul. You must stand trial before Caesar; and God has graciously given you the lives of all who sail with you.’ 25 So keep up your courage, men, for I have faith in God that it will happen just as he told me. 26 Nevertheless, we must run aground on some island.”
    27 On the fourteenth night we were still being driven across the Adriatic[C] Sea, when about midnight the sailors sensed they were approaching land. 28 They took soundings and found that the water was a hundred and twenty feet[D] deep. A short time later they took soundings again and found it was ninety feet[E] deep. 29 Fearing that we would be dashed against the rocks, they dropped four anchors from the stern and prayed for daylight. 30 In an attempt to escape from the ship, the sailors let the lifeboat down into the sea, pretending they were going to lower some anchors from the bow. 31 Then Paul said to the centurion and the soldiers, “Unless these men stay with the ship, you cannot be saved.” 32 So the soldiers cut the ropes that held the lifeboat and let it drift away.

    Title: But He Spoke
    Text: Acts 27:21–32
    Preacher: Rev. Yaqub Kashif
    August 4, 2025

    You’re not sitting in a sermon. You’re sitting in a storm. Not the kind that’s forecasted on weather apps, but the kind no one else sees. The kind where your prayers feel like whispers against thunder. The kind where the waves don’t just hit your boat, they hit your soul.

    여러분은 지금 설교를 들으러 앉아 있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폭풍 가운데 앉아 있는 것입니다. 일기예보에 예측되는 그런 폭풍이 아니라, 아무도 모르는 폭풍.
    기도는 천둥 속에 묻히는 속삭임 같고, 파도는 단지 배를 넘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영혼까지 내리칩니다.

    Some storms come from bad decisions. Others come for no reason at all. But this much is true: you’ve tried everything, and nothing has calmed the wind. You’ve stopped asking “Why?” and started asking “Will I survive this?” And just when all hope seems gone, He speaks.

    어떤 폭풍은 우리의 실수에서 오고, 어떤 것은 이유 없이 다가옵니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 당신은 할 수 있는 건 다 해봤고, 아무것도 폭풍을 멈추지 못했습니다. “왜?”라는 질문은 멈추고, “내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라고 묻기 시작했을 때— 바로 그때, 그분이 말씀하십니다.

    That’s where we find Paul in Acts 27. For fourteen relentless days, he and 275 others were trapped in a merciless storm. No food. No daylight. No hope. The Bible says, “We finally gave up all hope of being saved” (v.20). 

    그게 바로 오늘 본문의 바울이 겪은 이야기입니다.
    사도행전 27장, 14일 동안 바울과 275명은 거센 풍랑에 갇혔습니다.
    음식도, 햇빛도, 희망도 없었습니다. 성경은 이렇게 기록합니다.
    “우리는 마침내 구원의 희망마저 버렸다.” (20절)

    These weren’t amateurs these were professional sailors, Roman soldiers, and hardened men. But even the strongest hearts can collapse under silence. And then, in the middle of it all, Paul stood up not as a survivor, but as a messenger.

    이들은 초보자들이 아닙니다.
    선원들이었고, 로마 병사들이었고, 인생에 익숙한 자들이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단단한 마음도, 침묵 앞에서는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때, 바울이 일어섭니다.
    살아남은 자로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자로서.

    His voice cut through the chaos: “Men, you should have taken my advice not to sail from Crete… but now I urge you to keep up your courage, because not one of you will be lost; only the ship will be destroyed” (vv.21–22).

    그는 선포합니다.
    “여러분, 내가 크레타에서 출항하지 말자고 한 말을 들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용기를 내십시오. 여러분 중 한 사람도 목숨을 잃지 않을 것입니다. 오직 이 배만 부서질 것입니다.” (21–22절)

    Why such boldness? Because Paul had received something stronger than wind a Word from God. He said, “Last night an angel of the God to whom I belong and whom I serve stood beside me and said, ‘Do not be afraid, Paul. You must stand trial before Caesar and God has graciously given you the lives of all who sail with you’” (vv.23–24).

    왜 이렇게 담대할 수 있었을까요? 바람보다 강한 것,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말합니다.
    “어젯밤, 내가 속하고 내가 섬기는 하나님의 천사가 내 곁에 서서 말했습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바울아. 너는 반드시 가이사 앞에 서야 하고,
    하나님께서 너와 함께 항해하는 모든 사람들의 생명을 너에게 맡기셨다.’” (23–24절)

    This is the turning point. The storm didn’t stop but God spoke. And that Word was enough. 이것이 전환점입니다.
    폭풍은 멈추지 않았지만, 하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말씀 하나면 충분했습니다.

    Paul’s faith wasn’t manufactured it was anchored. He declared, “I have faith in God that it will happen just as He told me” (v.25). This wasn’t blind hope it was Spirit-born certainly. As Romans 10:17 reminds us, “Faith comes from hearing, and hearing through the word of Christ.” Paul didn’t need a change in circumstances he needed confirmation from heaven.

    바울의 믿음은 억지로 만들어낸 희망이 아니라, 하늘의 확신이었습니다.
    그는 선포합니다:
    “나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반드시 그렇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내게 말씀하신 그대로 될 것입니다.” (25절)
    로마서 10장 17절이 이렇게 말합니다.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습니다.”
    바울에게 필요한 건 상황의 변화가 아니라, 하나님의 확증이었습니다

    But the story doesn’t stop with comfort. It moves into conviction. When some of the crew tried to abandon the ship secretly, Paul didn’t hesitate. He warned, “Unless these men stay with the ship, you cannot be saved” (v.31)..

    그런데 여기서 이야기는 위로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순종으로 이어집니다.
    몇몇 선원들이 몰래 도망치려 할 때, 바울은 단호하게 말합니다.
    “이 사람들이 배에 남아 있지 않으면, 너희는 구원을 받을 수 없다.” (31절)|

    Wait didn’t God already promise they’d survive. Yes. But here’s what many don’t want to hear: God’s promises require obedience. You can’t receive a Word and then run from the instructions that come with it.

    잠깐, 하나님은 모두가 살아남는다고 약속하셨잖아요? 맞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진리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은 우리의 순종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고 해도, 그 말씀을 따라가지 않는다면
    그 약속의 열매는 경험할 수 없습니다.

    Too many today want divine outcomes without divine order. We want the rescue but reject the restraint. We want peace without process. But in God’s kingdom, the promise and the path are never separated

    오늘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결과는 원하면서, 하나님의 질서는 거부합니다.
    구원을 원하지만, 절제를 싫어합니다.
    평안을 바라지만, 그 과정을 외면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약속과 길이 결코 분리되지 않습니다.

    This sermon is for anyone who’s in that same space right now tired, tossed, and wondering if the storm will ever break. Maybe you’ve been trying to find your own lifeboat, your own plan B, your own secret exit from the pain.

    이 말씀은 지금 바로 폭풍 속에 있는 누군가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입니다.
    지치고, 흔들리고, 이 상황이 끝나기는 할까 하는 마음으로 버티고 있는 당신.
    어쩌면 당신은 자신만의 구명보트를 찾고 있을지 모릅니다.
    자신만의 ‘플랜 B’를 찾고 있을지 모릅니다.
    비밀스러운 탈출구를 찾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But today, heaven is calling you back to the voice. Don’t jump ship. Don’t panic. Don’t quit. The storm isn’t your enemy forgetting His voice is.

    그러나 오늘, 천국은 당신을 다시 하나님의 음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배에서 뛰어내리지 마십시오.
    포기하지 마십시오.
    당황하지 마십시오.
    폭풍이 당신을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음성을 잊는 것이 진짜 위험입니다.

    So, here’s the question: What if the only thing between your survival and your destruction is a single Word? What if your obedience today is the reason someone else lives tomorrow? What if your storm is not the end but the stage for God’s voice to be heard more clearly than ever before?

    그러니 이렇게 묻습니다:
    당신의 생존과 파멸 사이, 그 사이에 단 하나의 말씀이 있다면?
    당신의 오늘의 순종이, 누군가의 내일의 생명이 된다면?
    이 폭풍이 당신의 끝이 아니라, 하나님의 음성이 세상에 더 크게 울려 퍼지기 위한 무대라면?

    Let this become your cry not a polished statement, but a survivor’s confession:

    그렇다면, 이것이 당신의 고백이 되기를 원합니다:
    완벽한 문장이 아니라, 살아남은 자의 고백으로:

    “I should’ve drowned… but He spoke. I should’ve quit… but He spoke. I should’ve lost everything… but He stood beside me. And I believe it will happen just as He said.”

    “나는 익사되어야 했다… 그러나 그분이 말씀하셨다.
    나는 포기했어야 했다… 그러나 그분이 말씀하셨다.
    나는 모든 걸 잃었어야 했다… 그러나 그분이 내 곁에 계셨다.
    그리고 나는 믿는다. 반드시 그분이 말씀하신 대로 될 것이다.”

    The ship may break. The storm may rage. But you will not be lost.

    배는 부서질 수 있습니다. 폭풍은 계속 몰아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은 결코 잊혀지지  않을것입니다..

    Because the Word is still speaking.
    So, say it again and let it echo through every dark place in you

    왜냐하면 그 말씀이 아직도 당신을 붙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다시 고백하십시오.
    그 고백이 당신 안의 어둠을 찢고 울려 퍼지게 하십시오:

    But He spoke.
    When fear shouted: But He spoke.
    When the night pressed in: But He spoke.
    When the storm refused to end: But. He. Spoke.

    폭풍이 소리쳤을 때: 그러나 그분이 말씀하셨다.
    밤이 짙어졌을 때: 그러나 그분이 말씀하셨다.
    폭풍이 끝나지 않을 때: 그러나… 그분이… 말씀하셨다.

    And His Word is still holding you.

    그리고 그 말씀은 지금도
    당신을 붙들고 있습니다.

  • Acts 26:12–23  Commissioned by the King

    Acts 26:12–23 Commissioned by the King

    12 “On one of these journeys I was going to Damascus with the authority and commission of the chief priests. 13 About noon, King Agrippa, as I was on the road, I saw a light from heaven, brighter than the sun, blazing around me and my companions. 14 We all fell to the ground, and I heard a voice saying to me in Aramaic,[A] ‘Saul, Saul, why do you persecute me? It is hard for you to kick against the goads.’

    15 “Then I asked, ‘Who are you, Lord?’

    “ ‘I am Jesus, whom you are persecuting,’ the Lord replied. 16 ‘Now get up and stand on your feet. I have appeared to you to appoint you as a servant and as a witness of what you have seen and will see of me. 17 I will rescue you from your own people and from the Gentiles. I am sending you to them 18 to open their eyes and turn them from darkness to light, and from the power of Satan to God, so that they may receive forgiveness of sins and a place among those who are sanctified by faith in me.’

    19 “So then, King Agrippa, I was not disobedient to the vision from heaven. 20 First to those in Damascus, then to those in Jerusalem and in all Judea, and then to the Gentiles, I preached that they should repent and turn to God and demonstrate their repentance by their deeds. 21 That is why some Jews seized me in the temple courts and tried to kill me. 22 But God has helped me to this very day; so I stand here and testify to small and great alike. I am saying nothing beyond what the prophets and Moses said would happen — 23 that the Messiah would suffer and, as the first to rise from the dead, would bring the message of light to his own people and to the Gentiles.”

    Title: Commissioned by the King
    Text: Acts 26:12–23
    Preacher: Rev. Yaqub Kashif

    Last Sunday, we weren’t just studying Scripture, we were standing under it. In Acts 25, Paul was
    on trial, but the Gospel was the one being weighed. Some of us trembled like Felix. Others
    delayed like Festus. But none of us could walk away unchanged. The Gospel wasn’t asking for
    our opinion. It demanded our response.
    지난 주일, 우리는 단지 성경을 공부한 것이 아니라, 그 말씀 아래에 섰습니다. 사도행전
    25 장에서 재판을 받는 이는 바울이었지만, 실제로 평가받고 있던 것은 복음이었습니다.
    어떤 이는 벨릭스처럼 떨었고, 또 어떤 이는 베스도처럼 미루었습니다. 그러나 누구도
    변화되지 않은 채로 떠날 수는 없었습니다. 복음은 우리의 의견을 묻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응답을 요구했습니다.
    Today, that moment of the courtroom returns. But this time, it’s not just about judgment, it’s
    about commission. In Acts 26, Paul shares the encounter that changed everything. This isn’t just
    his story. It’s an invitation for you. What happens when Jesus interrupts your journey? What
    happens when the King calls your name?
    오늘, 그 법정의 순간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단지 심판의 문제가 아니라,
    사명의 순간입니다. 사도행전 26 장에서 바울은 모든 것을 바꾸어 놓은 그 만남을
    나눕니다. 이것은 단지 그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당신을 향한 초대입니다. 예수님께서
    당신의 여정에 개입하신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왕이 당신의 이름을 부르신다면
    어떻게 반응하시겠습니까?
    Paul wasn’t on a spiritual retreat. He was on a violent mission, marching toward Damascus to
    arrest Christians. But then at noon heaven broke through. “I saw a light from heaven, brighter
    than the sun.” The very glory of God stopped him. It knocked him down, not in condemnation,
    but in mercy. And then came the voice: “Saul, Saul, why do you persecute me?”
    바울은 영적 수련회에 있던 것이 아닙니다. 그는 그리스도인들을 잡으려 다마스쿠스로
    향하는 폭력적인 사명길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정오 무렵, 하늘이 뚫고 들어왔습니다.
    “나는 하늘로부터 해보다 더 밝은 빛을 보았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이 그를 멈추게
    했습니다. 그것은 정죄가 아니라 긍휼로 그를 쓰러뜨렸습니다. 그리고 음성이
    들려왔습니다. “사울아, 사울아, 네가 왜 나를 박해하느냐?”

    2

    The double call “Saul, Saul” wasn’t just for shock. It was sacred. Like “Moses, Moses” before
    the burning bush (Exodus 3:4), or “Martha, Martha” in her moment of distraction (Luke 10:41),
    God was speaking directly to Paul’s soul.
    이 두 번 부르는 “사울아, 사울아”는 단순히 놀라게 하려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거룩한 부름이었습니다. 불타는 떨기나무 앞의 “모세야, 모세야”(출애굽기 3:4)처럼, 혹은
    분주한 마르다를 부르신 “마르다야, 마르다야”(누가복음 10:41)처럼, 하나님은 바울의
    영혼 깊숙이 말씀하셨습니다.
    And in that divine moment, Saul the persecutor was interrupted by Jesus the King. But this
    encounter wasn’t just emotional it was missional. “Now get up and stand on your feet,” Jesus
    said. “I am sending you to open their eyes… to turn them from darkness to light, from the power
    of Satan to God.” This wasn’t a suggestion. It was a royal assignment. Paul wasn’t just forgiven
    he was commissioned.
    그 거룩한 순간에, 박해자 사울은 왕 되신 예수님에게 붙잡혔습니다. 그러나 그 만남은
    감정적인 체험에 그치지 않고, 사명의 부르심이었습니다. “이제 일어나 네 발로 서라,”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너를 보내어 그들의 눈을 뜨게 하고… 어둠에서 빛으로,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려 한다.” 이것은 제안이 아니라, 왕의
    명령이었습니다. 바울은 단지 용서받은 것이 아니라, 보냄을 받은 것입니다.

    And here’s the truth: that commission wasn’t for Paul alone. It is ours too. If you’ve met Jesus,
    you’ve been sent by Jesus. You don’t need a pulpit, you need obedience. You don’t need a
    microphone, you need light. Our world is full of spiritual blindness, and the King is still sending
    His people to open eyes.
    그리고 진리는 이것입니다: 그 사명은 바울만의 것이 아닙니다. 예수를 만났다면, 예수께
    보냄을 받은 자입니다. 강단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순종이 필요합니다. 마이크가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빛이 필요합니다. 우리의 세상은 영적 소경으로 가득하며, 왕은
    여전히 그분의 백성들을 보내어 눈을 뜨게 하십니다.

    3

    Paul could’ve walked away. But he said, “I was not disobedient to the vision.” That vision cost
    him everything freedom, comfort, and reputation. But it gave him what nothing else could:
    eternal purpose. We must ask ourselves: what vision have we ignored? What calls have we
    postponed? The danger isn’t persecution, it’s disobedience.
    바울은 돌아설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그 환상에 불순종하지 않았습니다.”
    그 환상은 그에게 모든 것을 요구했습니다—자유, 편안함, 명예. 그러나 그것은 그 어떤
    것도 줄 수 없는 것을 주었습니다: 영원한 목적. 우리는 자신에게 물어야 합니다. 우리가
    무시한 환상은 무엇입니까? 우리가 미룬 부르심은 무엇입니까?
    위험은 박해가 아니라, 불순종입니다.
    Yet Paul doesn’t boast in strength. He confesses, “But God has helped me to this very day.”
    That’s the only reason he could stand, speak, and suffer with hope. It’s not about your strength
    it’s about your Source. God’s help is your foundation. And what was the message he preached?
    Not success. Not self-help. But Christ crucified and risen. “That the Messiah would suffer and,
    as the first to rise from the dead, would bring the message of light to his own people and to the
    Gentiles.” That’s the Gospel. That’s the power. That’s our mission.
    그렇지만 바울은 자신의 강함을 자랑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렇게 고백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오늘까지 나를 도우셨습니다.”
    그것이 그가 설 수 있었던 이유, 말할 수 있었던 이유, 고난 가운데서도 소망을 품을 수
    있었던 이유입니다. 그것은 당신의 능력이 아니라, 당신의 근원이신 하나님입니다.
    그리고 그가 전한 메시지는 무엇입니까? 성공이 아닙니다. 자기계발이 아닙니다.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이십니다.
    “그리스도께서 고난을 받으시고, 죽은 자들 가운데서 먼저 살아나셔서, 그분의 백성과
    이방인들에게 빛의 메시지를 전하신다.” 그것이 복음입니다. 그것이 능력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4

    So, let me ask you: have you been arrested by the light? Has Jesus called your name? Are you
    still trembling in the dirt, or have you stood up to obey?
    그렇다면 제가 묻겠습니다.
    당신은 그 빛에 사로잡힌 적이 있습니까?
    예수께서 당신의 이름을 부르셨습니까?
    여전히 땅에 떨고 있습니까?
    아니면 일어나 순종하고 계십니까?
    Today is not just another Sunday. It’s a sacred moment. The King is calling again. The
    courtroom has become a commission. The verdict is mercy. The calling is yours. Will you obey
    the vision? Will you rise and testify? You weren’t saved to stay silent. You were commissioned
    to shine. This isn’t just Paul’s story, it’s yours. The King is calling. Will you answer?
    오늘은 단지 또 하나의 주일이 아닙니다. 거룩한 순간입니다.
    왕께서 다시 부르십니다. 법정은 사명지로 바뀌었습니다.
    그 판결은 긍휼입니다. 그 부르심은 당신의 것입니다.
    그 환상에 순종하시겠습니까? 일어나 증언하시겠습니까?
    당신은 침묵하라고 구원받은 것이 아닙니다.
    빛을 비추기 위해 사명을 받은 자입니다.
    이것은 단지 바울의 이야기가 아니라, 당신의 이야기입니다.
    왕이 부르고 계십니다.
    당신은 응답하시겠습니까?

    This week, carry this message in your spirit. Don’t just remember to respond to it. The King has
    spoken. You have been Commissioned by the King.
    이번 주는 이 메시지를 기억하는 것에 그치지 말고, 반응하며 살아가십시오.
    왕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당신은 왕의 사명을 받은 사람입니다.

  • Acts 25:1–12  The Gospel on Trial Again

    Acts 25:1–12 The Gospel on Trial Again

    25 Three days after arriving in the province, Festus went up from Caesarea to Jerusalem, where the chief priests and the Jewish leaders appeared before him and presented the charges against Paul. They requested Festus, as a favor to them, to have Paul transferred to Jerusalem, for they were preparing an ambush to kill him along the way. Festus answered, “Paul is being held at Caesarea, and I myself am going there soon. Let some of your leaders come with me, and if the man has done anything wrong, they can press charges against him there.”

    After spending eight or ten days with them, Festus went down to Caesarea. The next day he convened the court and ordered that Paul be brought before him. When Paul came in, the Jews who had come down from Jerusalem stood around him. They brought many serious charges against him, but they could not prove them.

    Then Paul made his defense: “I have done nothing wrong against the Jewish law or against the temple or against Caesar.”

    Festus, wishing to do the Jews a favor, said to Paul, “Are you willing to go up to Jerusalem and stand trial before me there on these charges?”

    10 Paul answered: “I am now standing before Caesar’s court, where I ought to be tried. I have not done any wrong to the Jews, as you yourself know very well. 11 If, however, I am guilty of doing anything deserving death, I do not refuse to die. But if the charges brought against me by these Jews are not true, no one has the right to hand me over to them. I appeal to Caesar!”

    12 After Festus had conferred with his council, he declared: “You have appealed to Caesar. To Caesar you will go!”

    Sermon Summary
    The Gospel on Trial Again (Acts 25:1–12)

    Rev. Yaqub
    Translated by: 규빈

    Last Sunday, we saw Felix tremble but never turn. Today, we return to the courtroom not to witness a
    mere legal case, but to face a deeper reality: it is not Paul on trial it is the gospel itself. After the trembling
    of Felix in Acts 24, the story now shifts to another courtroom and another governor, but the question
    remains the same: What will you do when the gospel confronts you?
    지난주 우리는 벨릭스가 떨었지만 결코 돌이키지는 않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오늘 우리는
    법정으로 다시 돌아오지만, 단순한 법적 사건을 목격하기 위함이 아니라 더 깊은 현실을 마주하기
    위함입니다. 지금 재판을 받는 것은 바울이 아니라, 복음 그 자체입니다.
    사도행전 24 장에서 벨릭스가 떤 후, 이야기는 이제 또 다른 법정과 또 다른 총독에게로
    옮겨지지만, 질문은 여전히 동일합니다: 복음이 당신을 직면할 때, 당신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The scene opens with Festus, newly appointed as the Roman governor of Judea, who has barely taken
    office when the Jewish religious leaders descend upon him with urgent demands. Their hatred for Paul is
    still burning after two years.
    사건은 유대 지역의 로마 총독으로 새로 임명된 베스도가 막 직무를 시작하자마자, 유대 종교
    지도자들이 급박한 요구와 함께 그에게 몰려드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그들의 바울에 대한 증오는 2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불타고 있습니다.
    They begged him to transfer Paul to Jerusalem, but not for a fair trial. Their motive is murder. They are
    not simply trying to silence a man; they are trying to extinguish a message. What disturbs them is not
    Paul’s personality it is the power of Christ he proclaims. This moment is more than political
    maneuvering. It is a continuation of the ancient hostility that once demanded the crucifixion of Jesus.
    그들은 바울을 예루살렘으로 이송해 달라고 간청했지만, 그것은 공정한 재판을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의 목적은 살해입니다.그들은 단순히 한 사람을 침묵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소멸시키려는 것입니다.그들을 불편하게 만든 것은 바울의 성격이 아니라, 그가 선포하는
    그리스도의 능력입니다.이 순간은 정치적 술수 그 이상입니다.
    이것은 한때 예수님의 십자가형을 요구했던 오래된 적대감의 연속입니다.
    The forces gathered here are not merely legal, they are spiritual. They echo a deep resistance to the
    gospel, a hostility that tries repeatedly to shut down the truth, not through debate, but through elimination.
    Yet the gospel cannot be ambushed or silenced. It travels not by human strength but by divine
    sovereignty, and in this case, God protects Paul once again through Roman procedure and a governor’s
    reluctant discernment.

    2

    여기 모인 세력은 단지 법적인 모임이 아닙니다. 그것은 영적인 모임입니다.
    이들은 복음에 대한 깊은 저항을 반영하며, 진리를 토론을 통해서가 아니라 제거를 통해 끊임없이
    차단하려는 적대감입니다. 그러나 복음은 숨겨지거나 묵살될 수 없습니다.
    복음은 인간의 힘으로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에 의해 전파되며, 이 경우에도
    하나님께서는 로마의 절차와 총독의 마지못한 분별을 통해 바울을 다시 보호하십니다.
    Festus wisely refuses their trap and insists the trial must be held in Caesarea, not Jerusalem. There, Paul is
    brought before the authorities again. He does not stand as a frightened defendant begging for mercy, but
    as a witness to truth, grounded in calling and undeterred by accusation. The Jews present many serious
    charges against Paul, but they cannot prove any of them. Their hatred is loud, but their evidence is
    hollow.
    베스도는 그들의 함정을 현명하게 거절하고, 재판은 예루살렘이 아니라 가이사랴에서 열려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곳에서 바울은 다시 당국 앞에 서게 됩니다. 그는 자비를 구하는 두려운
    피고인으로 서 있는 것이 아니라, 부르심 위에 굳게 선, 고소에 흔들리지 않는 진리의 증인으로 서
    있습니다. 유대인들은 바울에게 많은 심각한 혐의를 제기하지만, 그 중 어떤 것도 입증할 수
    없습니다. 그들의 증오는 크지만, 그들의 증거는 텅 비어 있습니다.
    Paul speaks with clarity not merely to defend himself, but to proclaim his purpose. He is not driven by
    fear, nor is he controlled by circumstances. His heart remains anchored in the promise spoken to him by
    Jesus in Acts 23:11: “Take courage. As you have testified about Me in Jerusalem, so you must also testify
    in Rome.”
    바울은 단순히 자신을 변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적을 선포하며 분명하게 말합니다.
    그는 두려움에 의해 통제되지도 않고, 상황에 의해 지배 받지도 않습니다.그의 마음은 예수님께서
    사도행전 23 장 11 절에서 그에게 하신 약속에 여전히 닻을 내리고 있습니다:
    “담대하라. 네가 예루살렘에서 나에 관하여 증언한 것 같이 로마에서도 증언하여야 하리라.”
    When Festus, likely trying to appease the Jewish leaders, suggests a trial in Jerusalem, Paul immediately
    sees through the danger behind the diplomacy. He knows this is no sincere gesture of justice it is a death
    sentence dressed in civility. So, in wisdom and courage, Paul appeals to Caesar. To most bystanders, this
    may have appeared to be a smart legal tactic, but in the eyes of faith, it is a holy move of obedience.
    유대인 지도자들을 달래기 위해 예루살렘에서 재판을 받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베스도가
    하자,바울은 즉시 그 외교적 제안 뒤에 있는 위험을 꿰뚫어 봅니다.그는 이것이 정의의 진정한
    제스처가 아니라, 예의로 포장된 사형 선고임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는 지혜와 용기로
    가이사에게 상소합니다.대부분의 구경꾼들에게는 이것이 똑똑한 법적 전략으로 보였을 수
    있지만, 믿음의 눈에는, 이것이 순종의 거룩한 행동입니다.

    3

    Paul is not just climbing the legal ladder he is following the divine path laid out for him. Festus responds
    with official words, “You have appealed to Caesar; to Caesar you shall go,” not realizing that in saying
    those words, he is affirming a heavenly commission.
    바울은 단지 법적 사다리를 오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정해진 하나님의 길을 따르고 있는
    것입니다. 베스도는 공식적인 말로 응답합니다. “당신이 가이사에게 상소하였으니, 가이사에게 갈
    것입니다.”그러나 그는 그 말을 하면서 자신이 하늘의 명령을 확증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합니다.
    Paul is not being stalled, he is being sent. But what about Festus? Like Felix before him, he is now part of
    the story, not as a bystander but as one who must decide. He hears the gospel. He stands near the truth. He
    even recognizes the political manipulation of religious leaders. But he, too, hesitates. He weighs public
    opinion more than eternal truth. And in doing so, his name is recorded not as a man who resisted Paul, but
    as one who ignored Christ.
    바울은 늦춰지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보내심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베스도는
    어떠합니까?그 전의 벨릭스처럼, 그도 이제 이 이야기의 일부가 되었고, 단순한 구경꾼이 아니라
    결정해야 할 자가 되었습니다.그는 복음을 듣습니다.그는 진리 가까이 섭니다.
    그는 종교 지도자들의 정치적 조작도 인식합니다.그러나 그 역시 망설입니다.그는 영원한
    진리보다 여론을 더 중하게 여깁니다.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의 이름은 바울을 대적한 자로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무시한 자로 기록됩니다.
    This is where the passage turns inward. The real courtroom is no longer Caesarea. It is the human heart. It
    is your heart. The gospel is not just on trial before Roman governors it is on trial every time it is preached,
    every time it is heard. When the Word of God goes forth, it does not simply inform it interrogates. It does
    not entertain it exposes. It will not leave us neutral. It demands a verdict. You may tremble like Felix.
    You may calculate it like Festus. Or you may stand, like Paul, rooted in faith, with a heart surrendered to
    God’s will.
    여기서 본문은 내면으로 전환됩니다. 진짜 법정은 더 이상 가이사랴가 아닙니다.
    그것은 인간의 마음입니다. 당신의 마음입니다. 복음은 단지 로마 총독들 앞에서 재판받는 것이
    아니라,복음이 선포될 때마다, 들려질 때마다 재판대에 오릅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나아갈 때,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심문합니다. 말씀은 즐겁게 하지 않고, 드러냅니다. 말씀은
    우리를 중립으로 두지 않습니다.복음은 판결을 요구합니다. 벨릭스처럼 떨 것입니까? 베스도처럼
    계산할 것입니까? 아니면 바울처럼, 믿음 안에 뿌리내려 하나님의 뜻에 마음을 맡긴 채 설
    것입니까?

    4

    The power behind Paul’s confidence was not his Roman citizenship, nor his legal knowledge. It was the
    Spirit of the risen Christ. That same Spirit is still present, still speaking, and still searching hearts today.
    The gospel does not knock politely on the door of your mind. It breaks through the barriers of pride and
    hesitation. It does not wait for a convenient season. It declares with urgency, “Now is the time of God’s
    favor; now is the day of salvation” (2 Corinthians 6:2). You are not here by accident. This Sunday is not
    routine. It is a divine summon. The Judge is seated. The truth has been spoken. And the verdict is not just
    about Paul, it’s about you. 당신은
    바울의 확신 뒤에 있는 힘은 그의 로마 시민권도, 법적 지식도 아니었습니다.그것은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영이었습니다. 그 동일한 영은 지금도 여전히 임재하시며, 말씀하시며, 마음을 살피고
    계십니다.복음은 당신의 마음 문을 정중히 두드리지 않습니다.
    그것은 자존심과 망설임의 장벽을 뚫고 들어옵니다.그것은 편한 때를 기다리지 않습니다.
    그것은 긴박하게 선언합니다:“보라 지금은 은혜 받을 만한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
    (고린도후서 6:2) 당신이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이번 주일은 일상이 아닙니다.이것은 하나님의 부르심입니다.재판장이 자리에
    앉으셨습니다.진리는 선포되었습니다.그리고 판결은 바울에 관한 것이 아니라, 당신에 관한
    것입니다.
    So, what will you do? Will you delay your response again? Will you hide behind excuses, logic, and
    public image? Or will you bow not before men, but before the Lord who calls you by name? The gospel
    doesn’t need your agreement to be true. But it will not become saving in your life without your surrender.
    Today is not just another chapter in Paul’s story. It is a moment in yours. May you not be remembered as
    one who listened and left unchanged. May you be remembered as one who, like Paul, stood firm not in
    the power of man, but in the purpose of God.
    그러면 당신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또 다시 당신의 응답을 미루시겠습니까?
    변명과 논리, 이미지를 핑계 삼아 숨으시겠습니까? 아니면 사람 앞이 아닌, 당신의 이름을
    부르시는 주님 앞에 무릎 꿇으시겠습니까? 복음은 당신의 동의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복음이 당신 삶 속에서 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당신의 굴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단지
    바울 이야기의 또 다른 장이 아닙니다. 당신 이야기 속의 한 순간입니다.
    당신이 듣고도 변화되지 않은 자로 기억되지 않기를. 바울처럼, 사람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목적
    안에 굳게 선 자로 기억되기를.
    Though the world may continue to put the gospel on trial, heaven has already declared its verdict. The
    gospel stands victorious. The only question is, will you?
    세상은 여전히 복음을 법정에 세우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늘은 이미 그 판결을 내렸습니다.
    복음은 승리했습니다. 그저 한가지 의문만이 남았습니다. 당신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 Acts 24:24–27  The GOSPEL that demands a RESPONSE

    Acts 24:24–27 The GOSPEL that demands a RESPONSE

    Acts 24:24-27 NIV
    24 Several days later Felix came with his wife Drusilla, who was Jewish. He sent for Paul and listened to him as he spoke about faith in Christ Jesus. 25 As Paul talked about righteousness, self-control and the judgment to come, Felix was afraid and said, “That’s enough for now! You may leave. When I find it convenient, I will send for you.” 26 At the same time he was hoping that Paul would offer him a bribe, so he sent for him frequently and talked with him. 27 When two years had passed, Felix was succeeded by Porcius Festus, but because Felix wanted to grant a favor to the Jews, he left Paul in prison.

    Sermon Summary
    Title: The Gospel That Demands a Response
    Text: Acts 24:24–27
    Preacher: Rev. Yaqub
    In Acts 24, we witness a divine encounter between a Roman governor named Felix and the
    apostle Paul, a prisoner in chains. The scene is striking one man holds worldly power, the other
    holds eternal truth. Felix, seated in a place of judgment, calls for Paul to hear more about faith in
    Christ. But instead of receiving a soft message tailored to his status, he is confronted by a gospel
    that strips away every illusion of control. Paul speaks to him about righteousness, self-control,
    and the coming judgment. These are not safe topics. They are not flattering ideas. They are truths
    that pierce, convict, and demand a response.
    사도행전 24 장에서 우리는 로마 총독 벨릭스와 사도 바울 사이의 거룩한 만남을
    목격합니다. 바울은 사슬에 묶인 죄수로 있었고, 벨릭스는 권력을 쥔 자였습니다. 이
    장면은 매우 인상적입니다. 한 사람은 세상의 권력을 지녔고, 다른 한 사람은 영원한
    진리를 지녔습니다. 재판석에 앉아 있던 벨릭스는 바울을 불러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에
    대해 듣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지위에 맞춘 부드러운 메시지를 받는 대신,
    모든 통제의 환상을 벗겨내는 복음을 마주하게 됩니다. 바울은 그에게 의와 절제, 그리고
    장차 올 심판에 대해 말했습니다. 이것들은 편한 주제가 아니며, 듣기 좋은 이야기들이
    아닙니다. 이들은 우리의 마음을 찌르고, 양심을 찔러 회개를 요구하는 진리입니다.
    The Scripture says that Felix was afraid. The message unsettled him. It awakened his conscience.
    It disturbed his comfort. But instead of repenting, Felix deferred. He told Paul, “That’s enough
    for now. When I find it convenient, I will send for you.” These are tragic words, because
    Scripture never records that convenient moment ever coming. Felix had a divine appointment.
    The Holy Spirit was near. The gospel was preached with power and clarity. But his response was
    delayed. And that delay may have cost him eternity.
    성경은 벨릭스가 두려워했다고기록합니다. 그 메시지는 그를 불편하게 만들고, 그의
    양심을 흔들며, 그의 안락함을 방해했습니다. 그러나 벨릭스는 회개하지 않고
    미루었습니다. 그는 바울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지금은 됐다. 내가 틈이 있으면 너를
    부르리라.”이 말은 매우 비극적인 말입니다. 왜냐하면 성경 어디에도 그 ‘편리한 때’가
    다시 왔다는 기록이 없기 때문입니다. 벨릭스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만남의 시간을
    받았습니다. 성령께서 가까이 계셨고, 복음은 능력과 명확함으로 선포되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반응은 지체되었고, 그 지체함이 영원한 상실로 이어졌을 수도 있습니다.
    This story is not just a historical event it is a mirror for our own lives. So many today hear the
    gospel, feel conviction, and yet choose to wait. They sense the weight of truth but postpone
    obedience. The danger is not just in rejection, but in hesitation. The gospel is not casual advice to

    2

    be filed for later; it is a holy summons that demands our immediate response. When God speaks,
    to delay is to disobey.
    이 이야기는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오늘날에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복음을 듣고, 죄의식을 느끼면서도, 순종을 미룹니까. 그들은
    진리의 무게를 느끼지만, 순종을 연기합니다. 위험은 단순한 거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체에 있습니다. 복음은 나중을 위해 보류할 조언이 아닙니다. 그것은 지금 당장
    반응해야 하는 거룩한 부르심입니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실 때, 지체하는 것은 곧
    불순종입니다.
    Felix had access to truth. He was not ignorant, he was indifferent. Paul, though bound in chains,
    was freer than the governor before him. Because freedom is not defined by status, wealth, or
    position. True freedom is found in surrender to Jesus Christ. Paul knew this, and that’s why he
    did not dilute the message. He didn’t preach to be liked he preached to be faithful.
    벨릭스는 진리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는 무지하지 않았습니다.
    무관심했던 것입니다. 반면, 바울은 비록 사슬에 묶여 있었지만, 벨릭스보다 더
    자유로웠습니다. 왜냐하면 자유는 지위나 부, 권력으로 정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진정한
    자유는 예수 그리스도께 순복하는 데서 오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 진리를 알고 있었고, 그렇기에 그는 메시지를 약화시키지 않았습니다.그는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께 신실하기 위해복음을
    전했습니다.
    The gospel that Felix heard is the same gospel preached today. It is a message of righteousness
    not our own, but the righteousness that comes by faith. It calls us to self-control not through
    human willpower, but through the surrender of our lives to Christ. And it reminds us of the
    coming judgment not as a threat, but as a sober truth that one day we will all stand before the
    throne of God. Every soul will give an account. Every secret will be exposed. What we do with
    Jesus now determines what He says to us then.
    벨릭스가 들은 복음은 오늘날 우리가 듣는 복음과 동일합니다. 그것은 우리의 의가 아닌,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에 대한 메시지입니다. 그것은 인간의 의지로 하는 자기 절제가
    아니라, 그리스도께 우리의 삶을 온전히 맡김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절제를 요구합니다.
    또한 그것은 장차 임할 심판을 위협이 아닌 엄연한 진리로 상기시켜줍니다. 언젠가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보좌 앞에 서게 될 것이며, 모든 영혼은 자신에 대해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모든 비밀이 드러날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예수님께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그날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하실 말씀이 달라질 것입니다.

    3

    Let this be clear: the gospel is not information to consider it is an invitation to surrender. The
    Spirit of God still speaks today, just as He did in that courtroom. But how many of us are like
    Felix? We tremble when truth hits our hearts, but instead of yielding, we delay. “Maybe
    tomorrow. Maybe next season. Maybe when it’s more convenient.” But tomorrow is not
    promised. Later is not guaranteed. Delay dulls the voice of conviction, and each time we
    postpone, we risk never hearing it again.
    분명히 합시다: 복음은 단순히 고려할 정보가 아니라, 전적인 항복을 요구하는
    초청입니다.성령 하나님은 그 법정에서 말씀하셨던 것처럼 지금도 말씀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우리는 벨릭스처럼 행동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진리가 우리의 마음을 찌를 때
    우리는 떨지만, 순종하기보다는 미룹니다. “아마 내일. 아마 다음 계절. 아마 좀 더 편할
    때.” 하지만 내일은 보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나중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지연은 양심의
    음성을 무디게 만들며, 우리가 매번 미룰 때마다 다시는 그 음성을 듣지 못할 위험을
    감수하게 됩니다.
    Paul’s chains could not silence the truth. And Felix’s position could not escape it. The gospel
    comes not to make us feel better, but to make us new. The question is not whether you’ve heard
    the truth, it’s whether you’ve responded. The Bible says, “Now is the time of God’s favor. Now
    is the day of salvation.” If God is speaking to you, the only right response is surrender. If He’s
    convicting your heart, the only wise answer is repentance. Because the gospel, once heard, leaves
    no one the same.
    바울의 쇠사슬은 진리를 막지 못했고, 벨릭스의 권력도 진리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복음은 우리를 기분 좋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새롭게 하려는 것입니다.질문은
    단순히 “당신은 진리를 들었는가?”가 아니라, “당신은 그 진리에 어떻게
    응했는가?”입니다.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보라, 지금은 은혜 받을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고후 6:2)
    하나님께서 지금 당신에게 말씀하신다면, 유일한 올바른 반응은 항복입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마음을 책망하신다면, 유일한 지혜로운 반응은 회개입니다.
    왜냐하면 복음은, 한 번 들으면 결코 사람을 예전과 같게 두지 않기 때문입니다.
    This is the gospel that demands a response. And the time to respond is now.
    이것이 반응을 요구하는 복음이며, 그 반응의 때는 바로 지금입니다.Sermon Summary

  • Acts 23:6–11  Faith That Stands Alone/홀로 서는 믿음

    Acts 23:6–11 Faith That Stands Alone/홀로 서는 믿음

    Then Paul, knowing that some of them were Sadducees and the others Pharisees, called out in the Sanhedrin, “My brothers, I am a Pharisee, descended from Pharisees. I stand on trial because of the hope of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When he said this, a dispute broke out between the Pharisees and the Sadducees, and the assembly was divided. (The Sadducees say that there is no resurrection, and that there are neither angels nor spirits, but the Pharisees believe all these things.)

    There was a great uproar, and some of the teachers of the law who were Pharisees stood up and argued vigorously. “We find nothing wrong with this man,” they said. “What if a spirit or an angel has spoken to him?” 10 The dispute became so violent that the commander was afraid Paul would be torn to pieces by them. He ordered the troops to go down and take him away from them by force and bring him into the barracks.

    11 The following night the Lord stood near Paul and said, “Take courage! As you have testified about me in Jerusalem, so you must also testify in Rome.”

    Faith That Stands Alone/홀로 서는 믿음

    Acts 23:6–11/사도행전 23장 6 ~11절
    There are moments in life when standing is not optional. Moments when all support is
    gone, explanations don’t help, and misunderstanding surrounds you like thick fog. These
    are not the glamorous stages of ministry or the celebrated mountaintop moments of
    calling. These are the lonely courtrooms of the soul where faith stands alone, not to be
    seen, but to be true.

    인생에는 버텨야만 하는 순간이 있습니다.모든 지지가 사라지고, 어떤 설명도
    소용없고, 오해가 짙은 안개처럼 나를 감쌀 때가 있습니다.그 순간은 화려한
    사역의 무대도, 부르심의 정상에서 누리는 영광도 아닙니다.그 순간은 영혼의
    법정에서 홀로 믿음이 서는 자리입니다. 보여지기 위해서가 아니라, 진실하기
    위해서서는 자리입니다.
    This was Paul’s reality in Acts 23. Just one chapter earlier, he had shared his testimony
    the moment Jesus called his name on the Damascus Road, the moment light surrounded
    him, and purpose filled his lungs. But now, Paul is not surrounded by glory. He is
    surrounded by division, accusation, and danger. The crowd is gone. The support is silent.
    And yet, Paul does not break. He stands.

    이것이 바로 사도행전 23 장에서 바울이 경험한 현실입니다.단 한 장 전만 해도
    그는 자신의 간증을 나눴습니다.다메섹 도상에서 예수께서 그의 이름을 부르신
    그 순간, 빛이 그를 감싸고 목적이 그의 폐부를 가득 채운 그 순간
    말입니다.그러나 지금 바울은 영광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습니다.그를 감싸고
    있는 것은 분열과 고소, 그리고 위험입니다.군중은 사라졌고, 지지는 침묵하며,
    그러나 바울은 무너지지 않습니다. 그는 버팁니다.
    The Sanhedrin before him is a picture of chaos. Some are Sadducees, who deny the
    resurrection and anything supernatural. Others are Pharisees, who pride themselves on
    legal rigor. But neither group sees Paul for who he truly is a servant of Christ, called to
    testify.

    2

    그 앞에 선 산헤드린은 혼란의 그림자입니다.어떤 이들은 부활도 초자연적인
    일도 부정하는 사두개인이고,또 어떤 이들은 율법의 철저함을 자부하는
    바리새인입니다.
    그러나 이 어떤 무리도 바울을 있는 그대로 그리스도를 증언하기 위해 부름 받은
    종으로 보지 못합니다.
    Paul, with deep discernment, acknowledges the religious division and says, “I am a
    Pharisee, descended from Pharisees. I stand on trial because of the hope of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With this statement, he does more than defend himself he
    reveals his foundation. He stands, not just for doctrine, but for the core truth that Jesus
    Christ has risen from the dead, and that resurrection life defines his mission and identity.

    바울은 깊은 분별력으로 이 종교적 분열을 인식하고 이렇게 말합니다.“나는
    바리새인이요, 바리새인의 아들이다. 나는 죽은 자의 부활의 소망으로 인해
    심문을 받고 있다.”이 말은 단순한 자기 방어를 넘어, 자신의 기초를 드러내는
    고백입니다. 그는 단지 교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다는 핵심 진리 위에 서 있음을 밝히는 것입니다.그리고 이
    부활의 생명이 그의 사명과 정체성을 정의합니다.
    At that declaration, the room erupts. The assembly, already divided in theology, explodes
    in conflict. Paul’s testimony doesn’t soothe the crowd it shakes the system. This is what
    truth often does. It does not blend in quietly; it exposes what has been hidden. It forces
    religious comfort zones to confront divine reality.
    그 고백이 나오자, 방은 폭발하듯 뒤집힙니다.이미 신학적으로 나뉘어 있던
    회중은 충돌과 갈등 속으로 빠져듭니다.바울의 증언은 그들을 진정시키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체계를 뒤흔들었습니다.진리가 종종 그렇습니다. 조용히
    섞이지 않고, 숨겨졌던 것을 드러냅니다.종교적 안락지대를 깨뜨리고, 하나님의
    실재 앞에 마주서게 만듭니다
    But what happens next is even more revealing. The dispute becomes so violent that the
    Roman commander fears Paul might be torn to pieces. Soldiers rush in to pull him from
    chaos. In this moment, Paul is not just physically threatened he is emotionally alone. He
    has stood faithfully, but the result has been misunderstanding, conflict, and violence.

    3

    그러나 그 다음 순간이 더욱 깊은 메시지를 전해줍니다.분쟁이 너무 격렬해져서,
    로마의 천부장은 바울이 찢겨 죽을까 두려워하게 됩니다.병사들이 혼란 속에서
    바울을 끌어냅니다.이 순간 바울은 단지 육체적으로 위협받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정서적으로도 철저히 외로워졌습니다. 그는 충실하게 버텼지만, 그 결과는
    오해, 갈등, 폭력이었습니다.
    And yet, that night, in silence and solitude, something holy happens. Scripture tells us,
    “The Lord stood near Paul.” Those six words change everything. Jesus Himself not an
    angel, not a dream stands beside Paul. In Greek, the word used here “ἐπέστη” (epistas)
    means “to come near and remain.” This is not a passing appearance. This is presence.
    This is intimacy. This is the reward for standing alone: the companionship of the One
    who never leaves.
    하지만 그날 밤, 침묵과 고독 가운데, 거룩한 일이 일어납니다.성경은 이렇게
    전합니다.
    “주께서 바울 곁에 서셨다.”이 여섯 단어가 모든 것을 바꿉니다.예수님께서 친히
    천사가 아니라, 환상이 아니라 직접 바울 곁에 서셨습니다.헬라어로 여기 사용된
    단어 “ἐπέστη”(epestē)는 가까이 오고, 머물다라는 뜻입니다.이것은 잠깐의
    등장이나 스쳐 지나감이 아닙니다.이것은 임재입니다.친밀함입니다.홀로
    버틴자의 믿음에 대한 보상입니다.절대 떠나지 않는 분의 동행입니다.
    Jesus speaks words Paul desperately needed: “Take courage! As you have testified about
    me in Jerusalem, you must also testify in Rome.” It was not just comfort it was
    confirmation. Paul’s obedience had not gone unnoticed. His lonely stand in Jerusalem
    was not the end it was preparation for Rome. His private faithfulness had qualified him
    for public influence.
    예수님께서 바울이 간절히 필요로 했던 말씀을 하십니다.“담대하라! 네가
    예루살렘에서 나에 대해 증언한 것 같이 로마에서도 증언해야 한다.”이것은 단지
    위로가 아니라, 확증입니다.바울의 순종은 하나님 앞에 분명히
    보였습니다.예루살렘에서의 외로운 믿음의 자리는 끝이 아니라 로마를 위한
    준비였습니다.조용한 충성은 장차 드러날 영향력을 위한 자격이었습니다.
    This is the pattern of divine purpose: God often sends us to larger places after we’ve
    stood alone in smaller ones. Our quiet obedience today prepares us for visible impact
    tomorrow. Faith that stands alone is never wasted. It is honored by the God who sees in
    secret and rewards in glory.

    4

    이것이 하나님의 목적 안에서 반복되는 패턴입니다.하나님은 종종 작은 자리에서
    홀로 선 자를, 더 큰 자리로 보내십니다.오늘의 조용한 순종이, 내일의 눈에
    보이는 사역을 준비합니다.혼자 서는 믿음은 결코 낭비되지 않습니다.그 믿음은
    은밀한 중에 보시는 하나님께서 기억하시고, 영광 중에 갚으시는 분께서
    기뻐하십니다.
    So, what does this mean for us? It means that being misunderstood is not failure. It means
    that truth may shake the atmosphere before it changes hearts. It means that when
    everyone walks away, the Lord still draws near. And it means that standing today might
    be what prepares you for the assignment that waits tomorrow.
    그렇다면, 이것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할까요?그것은, 오해받는 것이 실패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진리는 분위기를 흔들어 놓고서야, 마음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모두가 떠난 순간에도, 주님은 더 가까이
    오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오늘 당신이 믿음으로 서는 그 자리가, 내일의 사명을 위한 준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Faith that stands alone is the kind of faith that heaven backs. It’s the faith of Elijah on
    Mount Carmel. The faith of Stephen before the Sanhedrin. The faith of Jesus before
    Pilate. The kind of faith that stands, bleeds, and still believes.
    홀로 버티는 믿음— 이것이 바로 하늘이 지지하는 믿음입니다.갈멜산의 엘리야의
    믿음, 산헤드린 앞의 스데반의 믿음,빌라도 앞에 서신 예수님의 믿음.그 믿음은
    서고, 상하고, 피 흘리면서도 믿는 믿음입니다.
    And when you stand like that in love, in truth, in obedience you can be sure of one
    thing: He who called your name will never walk away. He will stand beside you.
    그리고 당신이 그런 믿음으로 선다면 사랑 안에서, 진리 안에서, 순종 안에서
    선다면 한가지는 확실합니다. 당신의 이름을 부르신 그분은, 결코 당신 곁을
    떠나지 않으십니다.
    그분은 당신 곁에 서실 것입니다.

  • Acts 22:6–16  He Calls My Name

    Acts 22:6–16 He Calls My Name

    “About noon as I came near Damascus, suddenly a bright light from heaven flashed around me. I fell to the ground and heard a voice say to me, ‘Saul! Saul! Why do you persecute me?’

    “‘Who are you, Lord?’ I asked.

    “ ‘I am Jesus of Nazareth, whom you are persecuting,’ he replied. My companions saw the light, bu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voice of him who was speaking to me.

    10 “‘What shall I do, Lord?’ I asked.

    “ ‘Get up,’ the Lord said, ‘and go into Damascus. There you will be told all that you have been assigned to do.’ 11 My companions led me by the hand into Damascus, because the brilliance of the light had blinded me.

    12 “A man named Ananias came to see me. He was a devout observer of the law and highly respected by all the Jews living there. 13 He stood beside me and said, ‘Brother Saul, receive your sight!’ And at that very moment I was able to see him.

    14 “Then he said: ‘The God of our ancestors has chosen you to know his will and to see the Righteous One and to hear words from his mouth. 15 You will be his witness to all people of what you have seen and heard. 16 And now what are you waiting for? Get up, be baptized and wash your sins away, calling on his name.’

    Sermon Title: He Calls My Name / 주께서 내 이름을 부르셨습니다
    Acts 22:6–16 / 사도행전 22:6–16
    There are moments in life that change everything. Not because we were seeking God, but
    because God came looking for us. Saul wasn’t in prayer. He wasn’t in worship. He was on a
    mission of violence. But even there, on the road to destruction, Jesus came not to destroy him,
    but to call his name.
    인생에는 모든 것을 바꾸는 순간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찾았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를 찾으셨기 때문입니다. 사울은 기도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예배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는 살기 등등한 길을 걷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길 위에서 예수님이
    오셨습니다. 사울을 멸망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그의 이름을 부르시기 위해서였습니다.

    1. He Found Me on the Wrong Road / 잘못된 길 위에서도 나를 찾아오신 주님
      Verse 6 says Saul was near Damascus, around noon. He wasn’t going to worship he was going to
      persecute. But the Lord met him there. This is grace: God doesn’t wait for us to get it right He
      meets us in the middle of our mess.
      6 절은 사울이 정오쯤 다메섹 근처에 이르렀다고 말합니다. 그는 예배하러 가는 것이
      아니라, 박해하러 가고 있었습니다.주님은 그러한 가운데 사울을 만나셨습니다. 이것이
      바로 은혜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완벽해질 때까지 기다리시는 분이 아니라, 혼란과
      죄에 빠져있을때 우리를 만나시는 분이십니다.
    2. He Called My Name / 주께서 내 이름을 부르셨습니다
      In verse 7, Jesus says, “Saul, Saul, why do you persecute me?” This was not a general call this
      was a personal call. Jesus knew Saul’s name. He knows your name too. He’s not calling a
      crowd. He’s calling you.
      7 절에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이것은 일반적인 외침이 아닙니다. 개인적인 부르심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사울의 이름을 알고 계셨습니다. 당신의 이름도 알고 계십니다. 주님은 무리를 부르시는
      것이 아니라, 당신을 부르십니다.
    3. When He Calls, Everything Breaks / 그분이 부르실 때, 모든 것이 무너집니다
      The light blinded Saul. He fell to the ground. The man full of control suddenly became helpless.
      Because when Jesus calls your name, your pride must break. Your plans must die. Your old life
      must collapse. So He can give you something new.
      빛이 사울을 눈멀게 했습니다. 그는 넘어졌습니다. 모든 것을 통제하던 사람이 순식간에
      무기력해졌습니다. 예수님이 당신의 이름을 부르실 때, 교만은 무너져야 합니다. 계획도
      무너지고, 옛 자아도 무너져야 합니다. 그래야 주님께서 새로운 삶을 주실 수 있습니다.
    1. He Awaits a Response / 주님은 우리의 응답을 기다리십니다
      Saul doesn’t argue. He doesn’t explain. He simply says, “What shall I do, Lord?” That is the
      question of surrender. That is the question that changes lives. When Jesus calls your name, He’s
      not looking for a debate He’s waiting for your yes.
      사울은 변명하지 않습니다. 설명도 하지 않습니다. 그는 단지 이렇게 말합니다. “주여,
      내가 무엇을 하리이까?” 이것이 바로 항복의 질문입니다. 운명을 바꾸는 질문입니다.
      예수님께서 당신의 이름을 부르실 때, 논쟁을 원하시는 것이 아니라, 순종의 응답을
      기다리십니다.
    2. He Calls Me to Die and Rise / 주님은 나를 죽고 다시 살도록 부르십니다
      Verses 14–16 show Saul’s full transformation: vision, baptism, and commission. The man who
      came to kill Christians became one of them. He didn’t just get saved he was sent. This is the
      full call: Jesus calls your name, washes your sin, and sends you into purpose.
      14 절부터 16 절은 사울의 완전한 변화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는 하나님의 뜻을 보고,
      침례를 받고, 사명을 받습니다. 그리스도인을 죽이러 왔던 자가 이제는 그리스도를
      전하는 자가 됩니다. 이것이 온전한 부르심입니다. 예수님은 당신의 이름을 부르시고,
      죄를 씻으시며, 새로운 사명으로 보내십니다.
      Conclusion / 결론
      This is not just Saul’s story. It’s yours. Jesus is still calling names. Not just Paul. Your name.
      Right now. He’s not asking if you’re qualified. He’s calling you as you are. Broken, blind, tired,
      ashamed. But He knows your name and He’s calling you.
      이것은 단지 사울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당신의 이야기입니다. 바울만이 아닌 당신의
      이름을. 지금 이 순간, 당신의 이름을 부르고 계십니다. 자격을 묻지 않으십니다. 지금
      있는 그대로 부르십니다. 상처 입은 채, 눈먼 채, 지친 채, 부끄러운 채로. 그러나 그분은
      당신의 이름을 아시고, 지금 부르고 계십니다.
      If you hear Him calling your name today, come. Don’t resist. Don’t delay. Run to Him. Let today
      be your Damascus road. Let today be the day everything breaks… so everything can begin again.
      오늘 그분이 당신의 이름을 부르시는 것이 느껴진다면, 나오십시오. 저항하지 마십시오.
      미루지 마십시오. 주님께 달려오십시오. 오늘이 당신의 다메섹 길이 되게 하십시오.
      오늘이 모든 것을 무너뜨리고, 다시 시작되는 날이 되게 하십시오.
  • ACTS 21:10-15   No Turning Back

    ACTS 21:10-15 No Turning Back

    10 After we had been there a number of days, a prophet named Agabus came down from Judea. 11 Coming over to us, he took Paul’s belt, tied his own hands and feet with it and said, “The Holy Spirit says, ‘In this way the Jewish leaders in Jerusalem will bind the owner of this belt and will hand him over to the Gentiles.’”

    12 When we heard this, we and the people there pleaded with Paul not to go up to Jerusalem. 13 Then Paul answered, “Why are you weeping and breaking my heart? I am ready not only to be bound, but also to die in Jerusalem for the name of the Lord Jesus.” 14 When he would not be dissuaded, we gave up and said, “The Lord’s will be done.”

    15 After this, we started on our way up to Jerusalem. 16 Some of the disciples from Caesarea accompanied us and brought us to the home of Mnason, where we were to stay. He was a man from Cyprus and one of the early disciples.

    Sermon Title: No Turning Back
    본문: 사도행전 21:10–15
    There are moments in life when turning back is not an option. Moments when everything
    in you wants to pause, pull away, or postpone, but the voice of God calls you forward
    anyway. Acts 21 is one of those moments. Paul is standing in the middle of friends,
    prophets, and pleas. The Spirit has spoken through Agabus: suffering is ahead. Chains are
    waiting. Pain is real. But instead of retreating, Paul stands up in the face of every warning
    and weeping voice and says: “I am ready not only to be bound, but also to die in Jerusalem
    for the name of the Lord Jesus.”
    인생에는 결코 뒤돌아설 수 없는 순간들이 있습니다. 내 안의 모든 것이 멈추고 싶고,
    물러서고 싶고, 미루고 싶다고 외치지만, 하나님의 음성은 여전히 나를 앞으로
    부르십니다. 사도행전 21장은 바로 그런 순간입니다. 바울은 친구들, 예언자들, 간청하는
    사람들 사이에 서 있습니다. 성령께서 아가보를 통해 말씀하셨습니다, 고난이 기다리고
    있다. 결박이 기다리고 있고, 고통은 현실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후퇴하지 않고, 경고와
    울음의 소리들 앞에서 일어서서 말합니다: “나는 결박 받을 뿐 아니라 주 예수의 이름을
    위하여 예루살렘에서 죽을 것도 각오하였노라.”
    This is not a casual decision, it’s a covenant. It’s not the voice of someone trying to survive.
    It’s the voice of someone who has already surrendered. And today, we too are being called
    to that kind of posture, where our answer is fixed and final. No turning back.
    이것은 가벼운 결정이 아니라 언약입니다. 이것은 단지 살아남으려는 자의 목소리가
    아닙니다. 이미 자신을 온전히 드린 자의 목소리입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도 그러한
    자세로 부르심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의 대답은 확고하며 흔들림이 없어야 합니다.
    돌아서지 않겠습니다.
    The first thing we see in this story is that Paul is warned, but still willing. The prophet
    Agabus doesn’t bring false words; he brings truth. He takes Paul’s belt, binds his hands
    and feet, and prophesies that the one who owns this belt will be handed over in Jerusalem.
    It’s not vague. It’s not veiled. It’s real and terrifying. And yet, Paul doesn’t retreat. He
    doesn’t run. Why? Because Paul understands what many of us forget, God doesn’t hide the
    cost; He reveals it ahead of time.
    이 본문에서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은, 바울이 경고를 받았지만 여전히 기꺼이 나아가려
    했다는 사실입니다. 선지자 아가보는 거짓말이 아닌 진리를 전했습니다. 그는 바울의 띠를
    가져다가 자기의 손과 발을 묶으며 예언했습니다, 이 띠의 주인은 예루살렘에서
    이방인들에게 넘겨질 것이다. 그 예언은 애매하지도 않았고 숨겨져 있지도 않았습니다.
    그것은 현실적이고 두려운 말씀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그는 도망가지 않았습니다. 왜일까요? 바울은 많은 사람들이 잊고 사는
    1
    진리를 알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대가를 숨기지 않으시고 미리 보여주신다는
    사실입니다.
    God doesn’t send warnings to stop you, He sends them to prepare you. Real faith doesn’t
    mean avoidance. It means awareness with courage. The Holy Spirit warns us not to
    paralyze us, but to strengthen us. Paul knew the danger, and still, he walked toward it. His
    life was already laid down. He had made peace with the price.
    하나님께서 경고하시는 이유는 우리가 멈추도록 하기 위함이 아니라, 준비시키기
    위함입니다. 진정한 믿음은 회피가 아닙니다. 두려움을 인식하고도 나아가는 용기입니다.
    성령께서 경고하시는 이유는 우리를 마비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강하게 하시기
    위함입니다. 바울은 위험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방향으로
    걸어갔습니다. 그의 생명은 이미 주님께 드려졌고, 그는 그 대가를 받아들였습니다.
    And then we see what happens next, tears begin to fall. The people around Paul, friends,
    believers, fellow disciples, beg him not to go. Their love is real. Their emotion is deep. But
    here’s the truth: love without vision can limit mission. Sometimes those who love you the
    most can unknowingly become the greatest hindrance to your calling. Not because they
    hate your purpose, but because they fear your pain.
    그 다음에 어떤 일이 벌어집니까? 눈물이 흘러내립니다. 바울 주변의 사람들, 친구들,
    신자들, 제자들이, 그에게 가지 말라고 간청합니다. 그들의 사랑은 진실했고, 그들의
    감정은 깊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진리가 있습니다: 비전 없는 사랑은 사명을 가로막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당신을 가장 사랑하는 이들이, 무의식 중에 당신의 부르심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그들이 당신의 사명을 미워해서가 아니라, 당신의 고통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But obedience to God cannot be driven by emotional pressure. You must know the voice
    that called you, even when others cry for you to stay. Paul hears their hearts, but he follows
    the Spirit. Their tears are sincere, but his calling is sacred.
    그러나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순종은 감정적인 압박으로 움직여서는 안 됩니다. 다른
    이들이 당신에게 머물라고 울부짖을지라도, 당신은 당신을 부르신 그분의 음성을 알아야
    합니다. 바울은 그들의 마음을 들었지만,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랐습니다. 그들의 눈물은
    진심이었지만, 그의 부르심은 거룩했습니다.
    Then Paul speaks again, and his words pierce the moment: “Why are you weeping and
    breaking my heart?” He’s not a stone. He feels their love. But he still won’t stay. Because
    he knows this: even deep love must bow to deeper purpose.
    그때 바울이 다시 말합니다. 그의 말은 그 순간을 찌릅니다: “왜 우셔서 내 마음을 아프게
    하십니까?” 바울은 돌이 아닙니다. 바울도사랑을 느꼈습니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떠납니다. 왜냐하면 그는 깊은 사랑도 더 깊은 하나님의 뜻 앞에서는 순복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2
    There are people who may love you sincerely and still not understand your divine
    assignment. And you must be okay with that. Love is beautiful, but it cannot replace the
    call. Paul isn’t called to be comfortable, he’s called to be sent. And so are you.
    당신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하나님의 사명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것에 대해 괜찮다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사랑은 아름답지만, 부르심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바울은 편안함을 위해 부름받은 것이 아니라, 보내심을 위해 부름받았습니다.
    그리고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Then comes the line that seals the message: “I am ready…” These are not just words. This
    is legacy. This is surrender. This is final.
    그리고 메시지를 완전히 고정시키는 문장이 나옵니다: “나는 준비되었습니다…” 이것은
    단지 말이 아닙니다. 이것은 유산이며, 헌신이며, 마지막 결단입니다.
    When Paul says “I am ready not only to be bound, but also to die for the name of Jesus,”
    everything shifts. This is not debate. This is devotion. Paul has settled it. He doesn’t need
    full understanding, he just needs full surrender.
    바울이 “나는 주 예수의 이름을 위하여 결박 받을 뿐 아니라 죽을 것도 각오하였노라”고
    말할 때, 모든 분위기가 바뀝니다. 이것은 논쟁이 아니라 헌신입니다. 바울은 이미 결정을
    마쳤습니다. 그는 모든 것을 이해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그는 온전한 순종만
    필요했습니다.
    And when the people see that he won’t be dissuaded, they stop resisting and say: “The
    Lord’s will be done.” That’s the power of an unshakable yes. When you stand in obedience,
    others align with heaven. Your surrender becomes contagious.
    사람들은 바울이 결코 설득되지 않을 것을 알자, 더 이상 저항하지 않고 말합니다: “주의
    뜻대로 되기를 원하노라.” 이것이 흔들릴 수 없는 “네”의 힘입니다. 당신이 순종 가운데 설
    때, 다른 이들도 하늘의 뜻에 정렬됩니다. 당신의 순종은 전염되기 시작합니다.
    And finally, the Scripture says, “After this, we started on our way up to Jerusalem.” That’s
    it. No delay. No further discussion. Paul moves forward. And that’s the final point, forward
    is the only way.
    마지막으로 성경은 말합니다: “이 말을 마치고 우리는 예루살렘으로 올라갈 준비를 했다.”
    그게 끝입니다. 지체도 없고, 더 이상의 논의도 없습니다. 바울은 앞으로 나아갔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마지막 핵심입니다,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유일한 길입니다.
    Obedience isn’t just an attitude. It’s an action. Paul didn’t pause. He didn’t delay. He
    didn’t stall to reconsider. He went. And friends, there comes a moment where we must do
    the same.
    3
    순종은 단지 태도가 아니라, 행동입니다. 바울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지체하지
    않았습니다. 다시 생각하려고 시간을 끌지도 않았습니다. 그는 곧장 갔습니다. 그리고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할 때가 옵니다.
    Let me close by asking you today: What has God spoken to you that others have tried to
    talk you out of? What calling have you delayed because of fear, or love, or pressure, or
    pain?
    오늘 말씀을 마치며 여러분에게 묻습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말씀하신 것을, 다른
    이들이 말리려 했던 적이 있습니까? 두려움, 사랑, 압박, 또는 고통 때문에 미뤄온
    부르심이 있습니까?
    The road to Jerusalem was hard, but the road of disobedience would have been worse. And
    so I ask you again: Will you turn back… or will you walk forward?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은 험했습니다, 그러나 불순종의 길은 더 위험했습니다. 그러니 다시
    묻습니다: 여러분은 뒤돌아서겠습니까… 아니면 앞으로 나아가시겠습니까?
    Some are called to comfort. But some are called to courage. Today, you must choose: Safety
    or surrender. Survival or obedience. Fear or fire.
    어떤 이는 위로를 위해 부름받았지만, 어떤 이는 담대함을 위해 부름받았습니다. 오늘
    여러분은 선택해야 합니다: 안전함인가, 순복인가. 생존인가, 순종인가. 두려움인가,
    불같은 믿음인가.
    And if you know that He’s called you… Then let this be your anthem today: No turning
    back.
    만약 당신이 그분의 부르심을 알고 있다면… 오늘 이 고백이 당신의 찬가가 되게
    하십시오: 돌아서지 않겠습니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