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s 24:24-27 NIV
24 Several days later Felix came with his wife Drusilla, who was Jewish. He sent for Paul and listened to him as he spoke about faith in Christ Jesus. 25 As Paul talked about righteousness, self-control and the judgment to come, Felix was afraid and said, “That’s enough for now! You may leave. When I find it convenient, I will send for you.” 26 At the same time he was hoping that Paul would offer him a bribe, so he sent for him frequently and talked with him. 27 When two years had passed, Felix was succeeded by Porcius Festus, but because Felix wanted to grant a favor to the Jews, he left Paul in prison.
Sermon Summary
Title: The Gospel That Demands a Response
Text: Acts 24:24–27
Preacher: Rev. Yaqub
In Acts 24, we witness a divine encounter between a Roman governor named Felix and the
apostle Paul, a prisoner in chains. The scene is striking one man holds worldly power, the other
holds eternal truth. Felix, seated in a place of judgment, calls for Paul to hear more about faith in
Christ. But instead of receiving a soft message tailored to his status, he is confronted by a gospel
that strips away every illusion of control. Paul speaks to him about righteousness, self-control,
and the coming judgment. These are not safe topics. They are not flattering ideas. They are truths
that pierce, convict, and demand a response.
사도행전 24 장에서 우리는 로마 총독 벨릭스와 사도 바울 사이의 거룩한 만남을
목격합니다. 바울은 사슬에 묶인 죄수로 있었고, 벨릭스는 권력을 쥔 자였습니다. 이
장면은 매우 인상적입니다. 한 사람은 세상의 권력을 지녔고, 다른 한 사람은 영원한
진리를 지녔습니다. 재판석에 앉아 있던 벨릭스는 바울을 불러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에
대해 듣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지위에 맞춘 부드러운 메시지를 받는 대신,
모든 통제의 환상을 벗겨내는 복음을 마주하게 됩니다. 바울은 그에게 의와 절제, 그리고
장차 올 심판에 대해 말했습니다. 이것들은 편한 주제가 아니며, 듣기 좋은 이야기들이
아닙니다. 이들은 우리의 마음을 찌르고, 양심을 찔러 회개를 요구하는 진리입니다.
The Scripture says that Felix was afraid. The message unsettled him. It awakened his conscience.
It disturbed his comfort. But instead of repenting, Felix deferred. He told Paul, “That’s enough
for now. When I find it convenient, I will send for you.” These are tragic words, because
Scripture never records that convenient moment ever coming. Felix had a divine appointment.
The Holy Spirit was near. The gospel was preached with power and clarity. But his response was
delayed. And that delay may have cost him eternity.
성경은 벨릭스가 두려워했다고기록합니다. 그 메시지는 그를 불편하게 만들고, 그의
양심을 흔들며, 그의 안락함을 방해했습니다. 그러나 벨릭스는 회개하지 않고
미루었습니다. 그는 바울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지금은 됐다. 내가 틈이 있으면 너를
부르리라.”이 말은 매우 비극적인 말입니다. 왜냐하면 성경 어디에도 그 ‘편리한 때’가
다시 왔다는 기록이 없기 때문입니다. 벨릭스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만남의 시간을
받았습니다. 성령께서 가까이 계셨고, 복음은 능력과 명확함으로 선포되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반응은 지체되었고, 그 지체함이 영원한 상실로 이어졌을 수도 있습니다.
This story is not just a historical event it is a mirror for our own lives. So many today hear the
gospel, feel conviction, and yet choose to wait. They sense the weight of truth but postpone
obedience. The danger is not just in rejection, but in hesitation. The gospel is not casual advice to
2
be filed for later; it is a holy summons that demands our immediate response. When God speaks,
to delay is to disobey.
이 이야기는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오늘날에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복음을 듣고, 죄의식을 느끼면서도, 순종을 미룹니까. 그들은
진리의 무게를 느끼지만, 순종을 연기합니다. 위험은 단순한 거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체에 있습니다. 복음은 나중을 위해 보류할 조언이 아닙니다. 그것은 지금 당장
반응해야 하는 거룩한 부르심입니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실 때, 지체하는 것은 곧
불순종입니다.
Felix had access to truth. He was not ignorant, he was indifferent. Paul, though bound in chains,
was freer than the governor before him. Because freedom is not defined by status, wealth, or
position. True freedom is found in surrender to Jesus Christ. Paul knew this, and that’s why he
did not dilute the message. He didn’t preach to be liked he preached to be faithful.
벨릭스는 진리에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는 무지하지 않았습니다.
무관심했던 것입니다. 반면, 바울은 비록 사슬에 묶여 있었지만, 벨릭스보다 더
자유로웠습니다. 왜냐하면 자유는 지위나 부, 권력으로 정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진정한
자유는 예수 그리스도께 순복하는 데서 오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 진리를 알고 있었고, 그렇기에 그는 메시지를 약화시키지 않았습니다.그는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께 신실하기 위해복음을
전했습니다.
The gospel that Felix heard is the same gospel preached today. It is a message of righteousness
not our own, but the righteousness that comes by faith. It calls us to self-control not through
human willpower, but through the surrender of our lives to Christ. And it reminds us of the
coming judgment not as a threat, but as a sober truth that one day we will all stand before the
throne of God. Every soul will give an account. Every secret will be exposed. What we do with
Jesus now determines what He says to us then.
벨릭스가 들은 복음은 오늘날 우리가 듣는 복음과 동일합니다. 그것은 우리의 의가 아닌,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에 대한 메시지입니다. 그것은 인간의 의지로 하는 자기 절제가
아니라, 그리스도께 우리의 삶을 온전히 맡김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절제를 요구합니다.
또한 그것은 장차 임할 심판을 위협이 아닌 엄연한 진리로 상기시켜줍니다. 언젠가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보좌 앞에 서게 될 것이며, 모든 영혼은 자신에 대해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모든 비밀이 드러날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예수님께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그날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하실 말씀이 달라질 것입니다.
3
Let this be clear: the gospel is not information to consider it is an invitation to surrender. The
Spirit of God still speaks today, just as He did in that courtroom. But how many of us are like
Felix? We tremble when truth hits our hearts, but instead of yielding, we delay. “Maybe
tomorrow. Maybe next season. Maybe when it’s more convenient.” But tomorrow is not
promised. Later is not guaranteed. Delay dulls the voice of conviction, and each time we
postpone, we risk never hearing it again.
분명히 합시다: 복음은 단순히 고려할 정보가 아니라, 전적인 항복을 요구하는
초청입니다.성령 하나님은 그 법정에서 말씀하셨던 것처럼 지금도 말씀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우리는 벨릭스처럼 행동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진리가 우리의 마음을 찌를 때
우리는 떨지만, 순종하기보다는 미룹니다. “아마 내일. 아마 다음 계절. 아마 좀 더 편할
때.” 하지만 내일은 보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나중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지연은 양심의
음성을 무디게 만들며, 우리가 매번 미룰 때마다 다시는 그 음성을 듣지 못할 위험을
감수하게 됩니다.
Paul’s chains could not silence the truth. And Felix’s position could not escape it. The gospel
comes not to make us feel better, but to make us new. The question is not whether you’ve heard
the truth, it’s whether you’ve responded. The Bible says, “Now is the time of God’s favor. Now
is the day of salvation.” If God is speaking to you, the only right response is surrender. If He’s
convicting your heart, the only wise answer is repentance. Because the gospel, once heard, leaves
no one the same.
바울의 쇠사슬은 진리를 막지 못했고, 벨릭스의 권력도 진리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복음은 우리를 기분 좋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새롭게 하려는 것입니다.질문은
단순히 “당신은 진리를 들었는가?”가 아니라, “당신은 그 진리에 어떻게
응했는가?”입니다.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보라, 지금은 은혜 받을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고후 6:2)
하나님께서 지금 당신에게 말씀하신다면, 유일한 올바른 반응은 항복입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마음을 책망하신다면, 유일한 지혜로운 반응은 회개입니다.
왜냐하면 복음은, 한 번 들으면 결코 사람을 예전과 같게 두지 않기 때문입니다.
This is the gospel that demands a response. And the time to respond is now.
이것이 반응을 요구하는 복음이며, 그 반응의 때는 바로 지금입니다.Sermon Summary

